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젖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송아지 버짐의 원인과 예방은
    작 성 일 2023.06.21 조 회 수 310
    첨부파일

    Ⅳ. 질병-25. 송아지 버짐의 원인과 예방은.pdf (594KB) ( 다운횟수 185 )     다운로드     바로보기

    소 버짐(Ringworm, 링웜)은 곰팡이의 감염에 의해 발생되며, 감염된 소가 가려워서 축사 벽이나 기둥에 비벼댄 자리에 다른 소가 접촉하여 전염되거나, 환부를 손질한 솔로 다른 소에게 접촉하였을 때, 소 끼리 서로 몸을 비벼댐으로서 감염됩니다. 특히 장기간 밀집 사육하는 육성우나 햇빛이 잘 들지 않는 사육공간의 송아지의 경우 겨울부터 봄철의 기간 동안 발생률이 높습니다. 사육환경 측면에서 우사 내 천장에 물방울이 맺힐 정도로 습기가 많거나 환기 불량, 운동 부족 등은 발생률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영양부족인 노령우나 어린 송아지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축은 다른 소와 분리하여 치료하며, 완치될 때까지는 건강한 소와 접촉이 되지 않도록 격리하고, 오염된 축사나 기구는 세척 및 소독을 해주어야 합니다. 축사는 청결, 건조 및 환기가 잘되도록 하고, 밀사가 되지 않도록 하며, 충분한 영양 공급과 피부의 청결, 비타민 A의 급여 등이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소 버짐은 사람의 피부에도 전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양관리 시 특히 접촉에 의한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합니다. 버짐 부위에 딱지가 형성되는 경우 비듬이 피부에 묻지 않도록 비닐장갑이나 고무장갑을 착용한 후 주변의 털과 딱지를 제거하고 소독수로 피부를 깨끗이 닦은 다음 요오드 성분과 각질 용해연고 등을 혼합하여 만든 약제를 병소에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가축질병방역과 / 063-238-7233)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