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조사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갈대, 억새 등 야초의 사료화 이용방안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작 성 일 2023.06.19 조 회 수 254
    첨부파일

    Ⅳ. 기타 사료작물 재배기술-10. 갈대, 억새 등 야초의 사료화 이용방안에 대해서 알려주세요.pdf (594KB) ( 다운횟수 183 )     다운로드     바로보기

    ▣ 갈대 등 야초의 생육 특성과 사료가치를 고려한 수확 적기
    ○ 야초는 5월부터 왕성하게 자라기 시작해 생육이 진행될수록 수량과 건물 비율은 높아지나 사료가치와 소화율 등이 낮아진다.
    ○ 볏짚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장마 전인 6월 하순경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늦어도 7월 중순까지는 수확 이용하는 것이 좋다.
    * 8월 이후에는 재생이 부진하고 사료가치는 낮아져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하로 떨어진다.
    ○ 실제 6월에 수확한 갈대의 조단백질 함량은 5.5%인데 반해, 볏짚은 5.1%, 갈대의 가소화양분총량(TDN)은 53.3%인데 반해 볏짚은 43.7%로 갈대의 사료가치가 더 높다.
    ○ 일반적으로 야초는 재생력이 좋지 않아 지속해서 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1년에 한 번 수확하는 것을 권장한다.
    * 1차 수량이 연간 수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재생 수량의 기여도는 낮고, 연속적으로 베면 야초자원이 점차 사라지기 때문이다.

    ▣ 야초의 양질 사일리지 조제
    ○ 사일리지를 조제하기 위해서는 예건을 실시한 후 반드시 미생물의 영양물질인 당분과 미생물 첨가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야초의 가축 급여
    ○ 갈대 사료를 한우에 먹일 때는 가급적 볏짚과 섞어주는 것이 좋은데, 6월에 수확한 양질의 갈대 사료는 단독으로 먹여도 괜찮다.
    ○ 급여 요령은 갈대와 볏짚을 1:1 중량비로 섞어 육성기부터 비육 중기(생후 6∼21개월령) 위주로 급여하고, 비육 후기에는 볏짚 단용이 권장된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