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닭)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좋은 종란 선택 기준은 무엇인가요
    작 성 일 2023.06.27 조 회 수 895
    첨부파일

    Ⅰ. 육종과 번식-2. 좋은 종란 선택 기준은 무엇인가요.pdf (594KB) ( 다운횟수 458 )     다운로드     바로보기

    품질이 우수한 종란은 부화율이 높고 건강한 병아리를 생산할 수 있다. 종란의 품질은 난중, 난형, 난각질 등으로 평가하며 선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난중은 닭의 품종과 산란일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지나치게 무겁거나 가벼운 알은 부화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상 난중인 알이 좋습니다. 또한 좋은 종란의 난형은 타원형이면서 기실이 있는 쪽의 구분이 확실한 것이 좋습니다. 기실이 길면 부화 과정 중 파손될 우려가 있고, 공과 같이 지나치게 둥근 알은 기실이 구별되지 않아 입란 시 기실이 아래로 가게 되어 부화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난각이 너무 얇으면 종란의 취급 과정과 부화 과정에서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지나치게 두꺼운 알은 병아리가 파각을 하지 못하여 부화 되지 못하기 때문에 난각질 또한 고려해야 합니다. 기타 사항으로 호우유니트 80 이상의 것이 부화율이 높고, 혈반란이나 육반란의 경우 부화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정상 종란은 둔단부에 기실이 있으며 예단부와 확실히 구분되는 모양이며, 기형란은 젊은 주령의 계군 또는 질병과 밀사 같은 스트레스로 발생합니다. 난각 표면은 칼슘 침착이 없고 매끈하며 색깔이 균일해야 하며, 난각의 두께는 0.33∼0.35㎜가 정상이고 0.27㎜ 이하일 경우 부화율이 저하되며, 종계 주령이 증가할수록 얇아져 비정상적인 종란의 비율이 증가합니다. 또한 사료 내 칼슘과 비타민 D3, 물에 염소 및 염분 수준이 부적절할 경우와 질병에 감염되었을 경우 비정상적인 종란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난백은 두껍고 점성이 높으며 녹황색의 반투명 색깔을 띠는 것이 정상이지만 종계 주령이 증가하거나 종란 보관 일수가 증가할 경우 난백 두께가 얇아지며 밀사와 같은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육반이나 혈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난황은 주령이 증가할수록 커지고 난백에 대한 난황의 비율도 커지며, 색깔이 균일하고 육반이나 혈반이 없는 것이 정상이나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난황에 반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배자는 난황 표면에 떠 있으며 부화기 입란 전에는 가운데가 불투명한 도너츠 모양이며 직경이 3∼5㎜ 정도입니다.


    (가금연구소 / 033-330-95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