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수입건초의 종류
○ 건초로 수입되는 사료작물은 알팔파, 귀리, 클라인그라스, 티모시, 오차드 그라스, 톨 페스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등이 주를 이룬다.
○ 이들 중에서 알팔파는 주로 양질의 건초로 수입되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오차드그라스, 톨 페스큐 등은 양질 건초도 있지만 사료가치가 낮은 채종짚의 형태가 많다.
▣ 수입건초의 주요 특징
○ 알팔파는 목초의 여왕으로 조사료 중 단백질 함량이 높다. 주로 양질건초 형태로 수입되고 있으며, 미국 북부에서 재배된 것을 PNW, 남부지역에서 재배된 것을 PSW라 표시되어 판매된다. 1번 초의 영양가치가 높다.
○ 티모시는 다년생 화본과 목초로 잎이 부드럽고 엷은 녹색을 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많이 생산되며 1, 2번 초로 건초를 생산한다. 티모시는 화본과 중 사료가치가 가장 높고 기호성이 우수하다. 양질 건초와 채종짚의 형태로 수입되고 있다.
○ 귀리는 단년생 화본과 식물로 줄기가 부드럽고 씹을수록 단맛이 나 기호성이 좋고 에너지 함량이 높은 편이다. 양질 건초와 채종짚의 형태로 수입되고 있다.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당분 함량이 높고 사료가치와 가축 기호성이 우수하다. 양질 건초와 채종짚의 형태로 수입되고 있다.
○ 클라인그라스는 다년생 화본과 식물로 초장이 90∼120cm로 줄기보다 잎의 비율이 높아 부드럽고 녹도가 좋다. 조단백질 함량이 우수하고 ADF가 낮아 소화율이 좋다.
○ 오차드그라스는 영년생 화본과 목초로 양질 건초는 티모시보다 사료가치가 낮으나 톨 페스큐보다는 높다. 그러나 채종짚은 오히려 톨 페스큐보다 사료가치가 낮다.
○ 톨 페스큐는 영년생 화본과 목초로 녹도가 좋다.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보다 상대적으로 표면이 거칠고 사료가치가 낮다. 그러나 채종짚은 상대적으로 엽이 많아 사료가치가 높다.
○ 페레니얼 라이그라스는 다년생 화본과 목초로 양질 건초는 사료가치가 높고 기호성도 좋으며 채종짚은 톨 페스큐에 비해 녹도가 떨어지나 기호성이 좋아 비육우 사육에 많이 사용된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