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사일리지 제조 방법에 따라 사일리지를 만들 경우에는 유해 곰팡이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재료의 수분 과다, 보관 부주의, 유통 중 비닐 파괴 등으로 유해 곰팡이 등이 발생하게 된다.
○ 사일리지 내 발생되는 곰팡이는 주로 토양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지역마다 서로 다른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일리지에서 발견된 곰팡이로는 Coprinus속, Blastomyces속, Aureobasidium속, Polypaecilum속, Botryoderma속, Mucor속, Scytalidium속, Sphaeropsis속, Aspergillus속, Tricocladium속, Staphylotrichum속, Periconia속, Humicola속, Verticillium속, Diplococcium속, Penicillium속, Tricoderma속 등이 있다.
○ 국내 사료용 볏짚에서 발견된 Mycotoxin곰팡이는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fumifatus, Fusarium culmorum. Fusarium verticilliodes, Penicillium carneum, Penicillium paneum, Penicillium roqueforti, Penicillium viridicatum 등이 보고되고 있다.
○ 가축의 영양 및 생리대사에 악영향을 주는 Mycotoxin으로는 aflatoxin, zearalenone, deoxynivalenol, T-2, fumonisins, ochratoxin, patulin 등이 있으며 이들 Mycotoxin을 생산하는 곰팡이로는 Aspergillus속, Fusarium속, Penicillium속 등이 있다.
○ 곰팡이가 오염된 조사료 또는 농후사료를 가축에 급여할 경우 가축 기호성 감소, 섭취량 감소, 면역력 감소, 소화기질병 발생, 번식 장애 그리고 가장 중요한 축산물 내 곰팡이 독소 잔류 등이 일어나기 때문에 급여해서는 절대 안 된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