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손익분기점(BEP, break-even point)이란?
○ 손익분기점의 의미
- (정의) 일정기간에 수익과 비용이 같아서 이익도 손해도 생기지 않는 매출액(총수입)
? 손익분기점을 기준으로 매출액이 크면 이익, 적을 경우 손실 발생
○ 손익분기점을 구성하는 기본요소
- (매출액) 판매량과 단가의 곱으로 구성되며, 총수입을 의미함
? 주산물(우유 판매수입)과 부산물(송아지판매, 구비판매, 기타 수입 등)의 합계
- (고정비) 생산수준의 증감에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비용
? 감가상각비, 수선비, 고용노동비 등
- (변동비) 일정한 환경하에서 생산수준의 변화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하는 비용요소
? 사료비, 수도광열비, 방역 치료비, 종부료 등
○ 손익분기점 관련 지표 구하는 방법
- 매출선의 공식: Y=X, 비용선의 공식: Y=f(고정비)+V(변동비)/S(매출액)×X
손익분기점은 비용선=매출선이 되기 때문에
X=f+V/S×X, X(1-V/S)=f, X=f/(1-V/S)
? (손익분기점 매출액)=고정비/[1-(변동비/매출액)]
- 매출액=판매량×단위당 가격=고정비+변동비의 관계를 변형시키면, (판매량×단위당 가격)-변동비=고정비, 판매량×[단위당 가격-(변동비/판매량)]=고정비, (변동비/판매량)=단위당 변동비. 이상과 같은 전개로 손익분기점의 판매량을 구하는 식을 구하면
? (손익분기점 판매량) = 고정비 / [판매단가 - (변동비 / 판매량)]
= 고정비 / [판매단가 - 단위당 변동비]
○ A 목장, B 목장의 손익분기점 분석(예시)
▣ 소득률과 순수익률 계산
○ (소득률) 총수입에서 일반비를 차감한 것이 소득이며, 소득/총수입이 소득률임
- (예시) 한우 비육우 마리 당 총수입(A)이 9,386,546원, 일반비(B)가 8,196,061원, 비용합계(C)가 9,328,877원일 때 한우 비육우 마리 당 소득률은?
? 소득률=소득/총수입×100=(총수입-일반비)/총수입×100=(9,386,546원-8,196,061원) / 9,386,546원×100=1,190,485/9,386,546×100=12.68%
○ (순수익률) 총수입에서 비용합계를 차감한 것이 순수익이며, 순수익/총수입이 순수익률에 해당함
- (예시) 한우 비육우 마리 당 총수입(A)이 9,386,546원, 일반비(B)가 8,196,061원, 비용합계(C)가 9,328,877원일 때 한우 비육우 마리 당 순수익률은?
? 순수익률 = 순수익 / 총수입×100 = (총수입-비용합계) / 총수입×100=(9,386,546원-9,328,877원) / 9,386,546원×100=57,669 / 9,386,546×100=0.6143%
(기술지원과 / 063-238-70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