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농가소득에 대한 정의
농가소득 = 조수입(원유판매액, 부산물수입)-경영비(사료비, 가축비, 수도광열비 등)
※ 경영비와 일정기간 동안 목장에 투여한 자기노동, 자기자본, 자기토지에 대한 화폐적 가치를 비용으로 하여 조수입에서 뺄 경우 이를 ‘이윤’이라고 함
▣ 조수입 증가를 통한 농가소득 향상 방안
사양기술 향상을 통하여 원유 생산량을 늘리고 유성분 함량 증가와 위생관리 철저로 원유 판매가격을 제고하는 것이 경영비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조수입을 늘리는 최선의 방안임
※ 부산물수입은 조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을 뿐만 아니라 부산물의 판매 가격이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제외함
※ 원유 기본가격은 협상에 따라 고정되기 때문에 개별 낙농가에서 결정할 수 없지만 유성분 함량과 위생등급은 낙농가의 사양기술, 의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사료품질의 향상으로 원유 생산량을 단기간에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는 사료비의 상승이 동반되기 때문에 농가소득을 감소시킬 수도 있음
▣ 경영비 감소를 통한 농가소득 향상 방안
경영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비목은 사료비이지만 저가의 사료를 쓸 경우 원유 생산량이 감소하고 품질도 저하될 수 있음
※ 사료비는 467.3원/ℓ(경영비 대비 비중 68.04%, 2020년 축산물생산비조사, 통계청) 사료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사료비를 절감하려면 기본적으로 사양기술을 향상시키고 위생관리를 철저히 할 뿐만 아니라 사료의 결제 방법을 변경하여(예 : 외상 → 현금 → 선금) 수수료를 절감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임
▣ 젖소의 분만 간격이 농가소득에 미치는 영향
젖소의 분만 간격 단축 또는 지연이 낙농가의 수익에 영향을 미치므로 합리적인 경영개선 계획의 수립이 필요함. 젖소의 분만 간격에 따른 농가소득을 조사한 결과, 농가의 젖소 분만 간격은 458일이며 농가 간 편차가 매우 심하여(381∼571일) 연간 착유량 및 생애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며 분만 간격이 길수록 사료비 증가로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젖소의 분만 간격 : 14개월미만(11.6%), 14∼15개월(35.5%), 15∼16개월(27.5%), 16개월 이상(25.4%)
▣ 경영성과 파악 및 진단
낙농경영의 소득 및 순수익의 증대 또는 최대화를 위해서는 경영자원이 합리적으로 조직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함. 경영성과 파악 및 진단을 통해서 낮은 소득의 원인이 수입에 있을 경우, 생산량, 판매단가, 생산비에서 원인을 찾아야 함
생산량이 적으면 사육 규모, 착유량, 생산기술에서 원인을 파악하여 증대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판매단가가 낮으면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도입 방안을 강구하고, 생산비가 높으면 비용분석을 통하여 절감 가능한 비목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도입 가능한 새로운 기술과 경영상 사양관리기술 낙후로 과다한 비용이 투입되고 있는지 등을 자세히 검토하여 비용절감 기술을 도입하여야 할 것임
▣ 소득증대를 위한 경영설계 시 기본사항
경영설계 시 유의사항은 사육 규모, 자금, 자재조달, 초지, 사양기술, 경영 형태, 출하 방법, 노동력 조달 방법 등을 명확히 설정하여야 함
① 사육 규모 확대는 확보 가능한 영농자본, 노동력과 기계화 등이 어느 정도인지를 검토하여 결정함. 가축 두수를 늘리는 것은 거액의 투자가 필요하고 투자 회수기간이 장기간 소요되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요구됨
② 초지조성은 사료작물의 재배 이용성, 품종선택, 배수, 지력 등을 고려해야 함
③ 영농자금은 시기별 용도와 금액을 판단하여 조달 방법을 마련하여야 함
④ 경영성과는 예상치 못한 시장수급 상황과 이에 따른 가격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당초에 잘 설계된 것이라 할지라도 차질이 생기는 경우가 많음
⑤ 경영개선계획은 장단기 변화를 예상하고 더불어 경영계획에 따르는 위험과 불확실성까지 함께 감안하여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경영개선계획을 수립해야 함
▣ 목장형 신선치즈, 발효유 유가공을 통한 소득증대
목장형 발효유 및 치즈는 시스템을 별개로 운영하지 않고 동일 공방에서 생산됨
착유우 63두 규모, 유가공이용 비율을 4.6% 이용한 낙농가는 연간 40,183천원의 소득과 31,138천원의 순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산정되었음
※ 내부수익률(IRR) 35.3%, 순현재가치(NPV) 236,036천원으로 낙농가공(치즈, 발효유)에 대한 투자 효과는 매우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음
(기술지원과 / 063-238-70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