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건초(乾草, Hay)란
○ 과잉 생산된 조사료를 풀이 생산되지 않은 기간 동안에 이용하기 위한 저장 수단이다.
○ 자연의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15∼20% 이하가 되도록 물리적으로 건조시킨 조사료의 저장 형태이다.
▣ 건초의 장?단점
○ 정장제 효과가 있어 송아지 설사를 방지한다.
○ 수분 함량이 적어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다.
○ 태양 건조 시 비타민 D의 함량이 높아진다.
○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아 장기건조 또는 강우 시 품질저하가 일어난다.
○ 부피가 커서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 화재의 위험이 있다.
▣ 건조의 과정
○ 수분 함량 70∼80%의 조사료를 15∼20%로 낮추는 과정이다.
○ 영양소 및 건물 손실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건조시킨다.
○ 건조량은 건초 톤당 2∼3톤의 수분을 제거한다.
○ 포장 중의 건조와 저장 중의 건조로 구분한다.
▣ 건초에 적합한 작물 및 조제 적기
○ 주로 목초가 많이 이용되나 근래에는 사료작물도 이용한다.(호밀, 귀리 등)
○ 우리나라의 건초조제 적기는 5월부터 장마 전인 6월 중순까지이다.
○ 목초는 1번초, 벼과는 출수기, 콩과는 개화 초기에 한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