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똑똑(Talk-Talk)한 농장 ‘축사로’란?
○ 똑똑(Talk-Talk)한 농장 ‘축사로’는 ‘한우리’에서 명칭이 변경된 시스템으로 고품질 안전 축산물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사용자 기반 농장관리 프로그램임
- ‘축사로’는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 활성화 및 정보개방·공유·협력을 통한 축산농가 맞춤형 One-Stop 서비스 제공, 농장단계 HACCP 보급을 통한 축산물 안전성 및 소비자 신뢰 확보, 한우·젖소·돼지·가금 등 축종별 경영프로그램 보급 및 교육에 의한 축산농가의 경영능력 향상을 추구함
▣ 똑똑(Talk-Talk)한 농장 ‘축사로’의 특징
○ 다양한 유관기관과 데이터 연계 협력을 통한 분산된 자료의 일괄제공
- 축사로는 농가 입력 항목을 최소화하면서 농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축산 농장 종합관리시스템임
-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종축개량협회 등 다양한 연계기관과 협력관계를 구축, 분산된 가축정보를 농장단위로 통합·연계하여 제공하고 있음
○ 체계적이고 예측 가능한 농장운영 지원 시스템
- 축사로는 개체별 분만 예정일, 재발정 예정일, 건유 시기, 질소탱크 충전 간격, 백신 접종 시기 등에 대한 문자 알림 발송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농장을 관리·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축사로(젖소) 사용자 매뉴얼 소개
○ 축사로 메인화면과 회원가입
- (축사로 메인화면) 축사로 활성화와 신규 축산농가 유입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제공
- (회원가입) 축산물품질평가원(이력제시스템)에 등록된 농장정보(농장명, 주소 등)와 일치하게 작성하여야 이력제시스템과 연동 가능
? [사용자 ID] 공백 또는 특수문자([, ], _, /)를 제외한 영문 대/소문자, 숫자만 사용 가능
○ HACCP기록관리와 개체관리
- (HACCP기록관리) 농장관리 기록정보를 관리서식에 따라 관리하며 기존에 자필 문서로 기록하던 부분을 시스템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농장기록 관리 효율성 향상 지원. 또한, HACCP인증 심사신청도 시스템에서 원클릭으로 가능하여 이용자 편의성 확대
- (개체관리)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부터 개체에 대한 기본정보를 자동으로 제공받아 농가에서 별도의 추가입력 노력없이 개체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또한, 구입우, 폐사우, 판매우, 출하관리 기능 등을 제공하여 젖소 개체에 대한 다양한 이력정보 관리를 지원함
○ 번식관리와 산유관리
- (번식관리) 암소에 대하여 산차별로 번식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수정부터 분만까지 모든 번식관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
- (산유관리) 기간별?일자별 우유 생산 기록정보 관리 및 산차별 평균 판로 문제현황 조회기능 지원
○ 경영관리와 젖소컨설팅
- (경영관리) 농가 수입/지출 등 경영정보 관리 기능 지원
- (젖소컨설팅) 사료 급여표준, 젖소유전능력자료 및 선형심사정보 등을 지원
○ 도체등급관리와 개인정보관리
- (도체등급관리) 출하된 소들의 등급정보를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부터 자동으로 제공받아 개체별 등급자료 제공
- (개인정보관리) 개체별 분만 예정일, 분만일, 재발정 예정일 등을 일자별로 확인 및 문자알림발송서비스 등을 설정할 수 있게 지원하며, 컨설턴트 지정 및 직원정보관리 기능 지원
▣ 축사로(젖소)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이곳으로!
○ 이것만의 기억해 주세요!
- 회원가입 이후 축산물품질평가원과 연계 승인을 위하여 농장주에게 축사로 가입 여부와 농장정보를 전화로 확인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3일 정도가 소요됨. 연계 승인처리 전까지는 “축산물품질평가원과 연계되지 않은 사용자입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되며 승인 후에는 개체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음
○ 축사로 매뉴얼과 궁금증은 여기로!
- 사용법이 담겨있는 매뉴얼은 축사로 홈페이지(http://chuksaro.nias.go.kr)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민원센터의 자주 묻는 질문을 통해 ‘축사로’에 대한 의문사항을 해소할 수 있음
- ‘축사로’를 사용하면서 겪는 개별적인 어려움이나 의문점은 로그인 후 민원센터의 질의응답에 직접 해당사항을 작성하거나 063-238-7000에 전화문의하여 해결 가능
(기술지원과 / 063-238-70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