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니발리즘은 심한 깃털쪼기 행동(severe feather pecking)의 정도가 심해지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생 원인은 계사 환경, 사료영양, 밀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어떤 스트레스 요인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다 임계치를 초과하면 발생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번 발생되면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초기에 발생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원인으로 계사 내에 직사광선이 들어올 때, 점등광도가 너무 높을 때, 과도하게 밀사를 할 때, 환기가 불량할 때, 영양소의 결핍 및 각종 영양소가 불균형할 때, 염분이 부족할 때, 고온으로 인한 스트레스 시, 조섬유의 함량이 부족할 때, 유전적인 영향과 습관이 있을 때, 힘과 체구 차이가 큰 병아리들을 혼사할 경우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카니발리즘이 발생한 경우, 쪼여 상처가 난 닭은 격리하고, 직사광선 차단 및 점등 조도를 낮춰주며, 사육밀도를 조절하여 줍니다. 사료의 무기물과 염분을 보충하여 주고, 톱밥, 곡물 등으로 만들어진 블록, 홰 등 놀이질을 이용하여 닭의 흥미를 끌어 쪼는 행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닭을 들여올 때 카니발리즘이 적은 품종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가금연구소 / 033-330-95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