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생볏짚 곤포 사일리지 조제와 특성
○ 생볏짚 곤포 사일리지는 벼를 수확하고 난 후 바로 볏짚을 둥글게 말아서 곤포를 만든 다음, 비닐을 감아(랩핑) 밀봉시켜 젖산발효를 일으키게 하여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저장성을 부여한 것이다.
○ 생볏짚 사일리지는 벼 수확 후 바로 만들기 때문에 신선한 상태에서 작업이 되어 건조 볏짚에 비해 사료가치가 높고 가축의 기호성도 좋다.
▣ 볏짚 전용 첨가제 처리 권장
○ 볏짚은 사료가치가 낮아 곤포 조제 시 볏짚 전용 미생물 첨가제를 처리해줌으로써 사일리지의 품질을 높이고 섭취량을 높여줄 수 있다.
○ 사일리지 품질 : (무처리) 4등급(불량) → (첨가제) 2등급(양호)∼3등급(보통)
○ 가축 섭취율 : 건조 볏짚(100%) → 생볏짚(110%) → 생볏짚+첨가제(150%)
▣ 곤포 사일리지 조제 방법
①조사료 생산 : 적작목 및 품종선택, 생력기계화 재배생산
②수확 및 집초 : 최대 양분 축적기 수확, 수분 함량 60∼65% 준수
③곤포 조제(첨가제 살포) : 압축 곤포
④비닐피목(랩핑) : 밀봉 비닐 피복
⑤저장 : 간이저장 보관
벼 수확 → 볏짚 모으기 → 원형곤포 조제 → 첨가제 처리 → 비닐 감기 → 저장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