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지조성 순서>잡관목 및 장애물 제거 → 선점 식생 제거 → 석회 및 비료시용 → 파종 → 갈퀴질 → 진압(방목)
▣ 불경운 초지는 무엇인가요?
불경운 초지 조성 방법은 땅을 갈아엎지 않고 땅 표면에 간단히 파종상을 만들어 초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불경운 초지는 주로 경사가 심하거나 장애물이 많아 기계투입이 어려운 산지에 초지를 조성할 경우 이용하는 방법으로 초지 개량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은 반면 개량 후 초지가 완성될 때까지 기간이 길며 조성 후 꾸준한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 파종상 준비(기존식생 제거)
목초를 파종하기 전 목초의 정착을 돕기 위해 파종상을 잘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파종상을 만들기 위해 선점식생을 제거해 주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파종상을 만들어 주는 방법으로는 제초제 시용과 가축에 의한 제경법이 있다.
제경법은 초지조성 대상지에 파종한 목초의 발아 및 정착에 영향을 주는 부식층 및 선점식생을 가축의 중방목을 통하여 제거하고 동시에 겉뿌린 목초 종자가 토양에 잘 밀착하여 발아,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제경법> 초지조성법의 일종으로 잡관목 제거를 가축의 발굽과 이빨을 통해서 제거하고 그 위에 목초를 겉뿌려서 초지를 만드는 방법
▣ 초지조성을 위한 비료시용
초지 조성 시 시비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ha당 80-200-70kg, 석회석을 2∼3톤/ha당 시용한다.
▣ 목초파종
○ (파종량) 산지 초지조성에 적합한 표준 혼파 조합 비율 및 파종량은 <표>와 같이 오차드그라스 또는 톨 페스큐 위주 혼파 조합이 있다. 그러나 산지 초지를 조성할 경우는 실제 파종량은 추천량의 25∼50%를 더 많이 파종한 경우 식생이 양호하였다.
○ (파종 시기) 월동 전에 뿌리가 충분히 발육하고 영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파종은 적어도 서리가 내리기 35∼45일 전까지는 완료되어야 한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중북부지역은 8월 중∼하순, 남부지역은 9월 상순까지 파종을 완료하여 월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파종 방법) 파종의 경우 동력분무살포기(미스트기)를 이용하여 목초 종자를 산파한다. 목초 종자가 고루 뿌려지기 위해서 2회 정도로 나누어 파종하고 미스트기 배출구를 바닥으로 향하는 것보다 위로 향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 (복토?진압) 파종 후 목초 종자의 정착을 돕기 위해 겉뿌림 후 갈퀴 등으로 지표면을 긁어 준다. 이는 땅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 목초 종자를 떨어트려 목초 종자를 지면에 밀착시켜준다. 또한 대상지에 ha당 10두의 방목축을 이용하여 2일 정도 방목시키면 방목축이 발굽으로 밟아 파종한 목초 종자와 토양과의 접촉을 촉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