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조사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초지조성 시 혼파 방법과 장·단점에 대해 알려주세요
    작 성 일 2023.06.19 조 회 수 338
    첨부파일

    Ⅵ. 초지조성 및 관리기술-2. 초지조성 시 혼파 방법과 장·단점에 대해 알려주세요.pdf (594KB) ( 다운횟수 143 )     다운로드     바로보기

    ▣ 초지조성에 있어서 적합한 초종의 선택
    ○ 목초는 종류에 따라 생육특성, 사료가치와 기호성 등이 각기 다르며, 예취, 건초 조제, 방목 등에 용이한 초종과 그렇지 않은 초종이 있다.
    ○ 빈번한 예취와 방목에 의한 제상도 고려되어야 한다.
    ○ 예취하여 이용할 경우에는 수량성과 건초 조제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상번초를 선택하고, 방목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하번초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환경 적응성은 초종에 따라 특정 환경에 대해 강하고 약함이 있다.

    ▣ 목초를 혼파하면 유리한 점
    ○ 영양 성분과 기호성이 높은 목초를 공급할 수 있다.(콩과 벼과 혼파)
    ○ 두과를 혼파하면 공중질소를 이용할 수 있어 질소의 절약과 환경친화적 농법이 된다.
    ○ 키가 큰 상번초와 키가 작은 하번초를 혼파함으로 공간이용 증대 및 초종 간 경합을 경감시켜 준다.
    ○ 혼파를 하면 목초의 뿌리분포가 달라서 다양한 토양층의 양분을 고르게 이용할 수 있다.
    ○ 조·만생종, 다양한 목초 혼파로 계절별 균등 생산성과 풍흉의 기복이 완화된다.
    ○ 건초, 사일리지, 방목 등 이용 방법의 선택이 쉬워진다.

    ▣ 혼파를 하면 불리한 점
    ○ 혼파된 초종이 조화를 이루며 모두 본연의 역할을 하려면 고도의 관리기술과 목초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그렇지 못하면 최종적으로는 1종류밖에 살아남을 수 없게 된다.
    ○ 당초 목적된 결과와는 다른 식생변화로 천이하는 경향이 있다.

    ▣ 혼파를 하는 기본 원칙
    ○ 혼파 조합은 지역특성과 대상지 조건에 따라 적응 초종과 품종의 선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 최소한 콩과 1초종과 화본과 1초종을 혼파하는 것이 유리하다.
    ○ 단순한 혼파 조합이 유리하다.(4종 이상 혼파 시 유리한 경우는 드뭄)
    ○ 의도된 목적에 맞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 기호성(방목)이나 경합력이 너무 차이가 나면 곤란하다.
    ○ 한 초종이 정착에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충분한 파종량이나 방석형 목초가 필요하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