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성이 낮은 부실 초지를 이용하는 것은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부실 초지의 원인을 파악하여 가능한 한 빨리 초지를 갱신해주는 것이 생산성이 높은 초지를 유지하는 적절한 방법이다.
▣ 초지 갱신 방법
○ 부분(간이) 갱신은 초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초지식생을 유지하면서 새롭게 종자를 추가 파종(보파)하여 목초의 비율을 높여 초지를 갱신하는 방법이다.
○ 완전 갱신은 기존 초지의 식생에 잡초가 너무 많아 부분 갱신으로는 초지의 생산성 향상이 어려운 경우, 기존 초지를 완전히 갈아엎고 다시 초지를 조성하는 방법이다.
▣ 보파를 이용한 초지의 간이(부분) 갱신 방법
○ 기존 초지의 식생개선을 위해 목초 종자를 초지 위에 뿌린 후 가축으로 방목을 강하게 시켜 기존 식생을 억제한다.
○ 목초의 발아 및 정착을 위해서 인산을 충분히 시비하며, 토양 산도 교정을 위한 석회시용을 해야 하며, 한꺼번에 많이 시용하는 것보다는 조금씩(2톤/ha/년) 연차적으로 시용한다.
○ 종자 보파 시기는 중북부지역은 8월 중하순, 남부지역은 9월 상순까지 완료하며, 보파량은 초지조성 시 파종량의 50%이다.
▣ 완전 갱신 방법
○ 초지를 완전 갱신하기 위해서는 식물전멸약 제초제(글라이신액제)를 목초 파종 1개월 전까지 살포하여 기존 식생을 죽인다.
○ 8월 하순경 기존 초지의 목초와 잡초가 죽은 다음 기계작업이 가능한 경우에는 경운을 하여 경운 초지를 새롭게 조성한다.
○ 경사가 심하여 기계작업이 곤란한 경우에는 8월 하순에 겉뿌림 초지조성 방법으로 초지를 조성한다. 토양개량용 석회시용 → 비료살포 → 목초파종 → 진압 순으로 한다.
○ 겉뿌림 초지조성을 할 때는 경운 초지 조성보다 종자량을 50∼100% 증량해주는 것이 초기 목초 정착에 유리하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