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조사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방목초지 조성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
    작 성 일 2023.06.19 조 회 수 312
    첨부파일

    Ⅵ. 초지조성 및 관리기술-6. 방목초지 조성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pdf (594KB) ( 다운횟수 144 )     다운로드     바로보기

    ▣ 방목초지 불경운 초지조성
    ○ 경사도가 높아(25°이상) 기계화 작업이 곤란한 장소에 인력에 의한 목초 종자를 파종하는 방법으로 토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표토에 쌓인 낙엽을 제거하고 비료와 석회를 살포한 후 목초 종자를 흩어 뿌리고 갈퀴로 긁어 복토하는 파종 방법으로 가축을 방목하여 이용한다.
    ○ 불경운 초지조성은 우선 기존 식생을 제거해야 하므로 잡관목을 제거하고 보호수는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여 임간초지로 조성한다.
    ○ 기존식생 및 잡초는 제초제를 살포하여 제거하고 표토가 노출될 수 있도록 낙엽 및 고엽을 제거한 후 목초 종자를 파종한다.
    ○ 외곽 목책이 설치된 곳은 소 또는 염소를 강방목하여 잡초를 제거하고 목초 종자를 파종하는 제경법도 가능하다.

    ▣ 목초파종
    ○ 초지조성 시기는 봄 파종보다 가을 파종을 권장하며 봄에는 잡초가 많이 발생하고 봄 가뭄으로 발아율이 감소하게 되므로 초지조성 준비를 해야 한다.
    ○ 목초 파종 시기는 8월 하순∼9월 상순에 파종하여 월동기간에 동사하지 않도록 파종 적기에 목초 종자를 파종한다.
    ○ 파종 시 비료를 주는 양은 헥타르당 질소 80kg, 인산 200kg, 칼리 70kg으로 목초 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시용한다.

    ▣ 혼파조합
    ○ 다년생 목초로 구성하며 가축 방목에 의한 재생이 잘되고 기호성과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는 초종을 선택해야 한다.
    ○ 겨울이 추운 중북부지방은 티머시 위주 혼파조합, 중남부지방은 톨 페스큐 위주의 혼파조합으로 목초 종자 40kg/ha를 파종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기본적으로 주 초종을 화본과의 오차드그라스와 톨 페스큐로 하는 것이 좋고, 고산지대에는 티머시를 추가하는 것이 좋다.
    ○ 파종량은 ha당 30∼35kg 정도이며, 구체적 초종별 파종량(kg/ha)은 오차드그라스 16kg, 톨 페스큐 9kg, 페레니얼라이그라스 3kg, 켄터키블루그라스 2kg, 화이트클로버 2kg 정도이다.
    ○ 오차드그라스는 하고(여름철 더위에 의한 피해)에 약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남부지역에서는 톨 페스큐를 주 초종으로 바꾸어 ha당 톨 페스큐 16kg, 오차그라스 9kg, 페레니얼라이그라스 3kg, 켄터키블루그라스 2kg로 할 수 있을 것이다.
    ○ 고랭지 같은 고산지대의 경우에는 티머시를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다.

    ▣ 가축방목
    ○ 초지조성 이듬해, 목초가 정착한 후에 초장이 25cm 정도 자랐을 때 5월 중순경 약방목을 실시하고 웃거름을 시용한 후 45일 후에 2차 방목을 실시한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