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조사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방목초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작 성 일 2023.06.19 조 회 수 235
    첨부파일

    Ⅵ. 초지조성 및 관리기술-8. 방목초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pdf (594KB) ( 다운횟수 141 )     다운로드     바로보기

    방목우 한 마리(500kg)가 하루에 섭취하는 풀의 양은 60∼70kg으로 체중의 13% 정도 목초를 먹게 된다. 목초지에 풀이 많으면 방목 두수를 늘릴 수 있고 배합사료 급여량도 줄일 수 있지만, 풀이 부족하면 방목이 중단되거나 잡초 발생도 증가하게 된다.
    ※ 방목초지 관리
    ① 적당한 시기에 비료주기
    ② 풀이 부족하기 전에 방목구 이동
    ③ 목초 종자의 파종(보파)
    ④ 잡초 방제와 잡관목 제거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방목지의 시비관리는 가축이 풀을 뜯는 만큼 비료로 보충해 주어야 하는데 윤환방목지의 목초는 다년생으로 방목 가축이 영양 성분을 섭취하므로 월동 및 방목 후에 비료를 주지 않을 때 토양은 척박해져서 생산량이 떨어지고 방목초지의 수명도 짧아진다.

    비료를 주는 횟수는 연간 4∼5회로 나누어 시용하며 이른 봄, 첫 번째 비료 주는 시기는 지역별로 제주지역은 2월 중순∼하순, 남부지역은 2월 하순∼3월 상순, 중부지역은 3월 상순∼중순, 중북부지역은 3월 하순∼4월 상순에 시용하는데 기후 온난화의 영향으로 비료 주는 시기가 다소 빨라지는 경향이며, 비료를 늦게 주면 방목 시기도 늦어진다. 가축 방목초지의 시비량은 ha당 요소 457kg, 인산 750kg, 칼리 300kg이며 연간 4∼5회 나누어서 시용하게 된다. 서릿발이 잘 발생하는 신규 초지나 기성 초지는 롤러로 눌러 목초 뿌리가 들뜨지 않도록 한다.

    목초의 보파는 주로 부분적인 갱신에 많이 쓰이는 방법으로 이른 봄 비료 주는 시기에 목초를 파종하면 된다. 대부분 겉뿌림 보파를 실시하며 보파대상지를 선정하여 가뭄이나 잡초 발생 시기를 피해 연중 실시해야 한다.
    ※ 보파 대상지 : 분뇨 피해지, 목로, 하고 발생, 잡초 발생, 잡관목 제거, 유실지 등
    ※ 보파 작업 : 토양정리(잔여물 제거) → 밑거름 시용 → 파종(갈퀴질) → 진압

    기성 초지에서는 대상지 주변 목초를 짧게 벤 다음 비료를 주고 종자를 뿌린 후 종자와 흙이 잘 밀착되도록 진압하여 주어야 한다.

    ▣ 목초 보파
    ○ 두과 목초가 많은 초지에서는 화본과 목초(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 켄터키블루그라스, 페레니얼라이그라스, 티머시)를 보파하여야 한다.
    ○ 기성 초지의 목초 보파 파종량은 20∼25kg/ha이며 방목구 이동으로 종자 겉뿌림 후 답압이 되게 한다.
    ○ 목초 종자의 보파 시기는 잡초가 발생하지 않는 8월 하순경으로 흩어뿌림한 후 가축을 방목하여 제경법에 의한 복토로 발아율을 향상시킨다.

    ▣ 가축 방목
    ○ 방목은 ha당 생초 생산량이 3톤 정도 되는 시기부터 방목을 시작하므로 봄철 목초의 과중한 생육을 막을 수 있고 초지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 두 번째 이후 목초의 방목 적기는 초장이 20∼25cm일 때이며 이때까지의 휴목 일수는 봄 18∼20일이다. 방목에 의한 초고가 5∼9cm일 때 방목구를 옮기고 비료를 시용한다.
    ○ 윤환방목의 적정 일수는 3∼5일이나 초지의 생산량을 고려하여 방목축과 방목 일수를 조정하여 과방목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초지에서 방목률을 높이기 위해서 발굽피해를 줄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방목 시기, 방목강도, 방목지의 조건을 결정하고 목책 보수와 소금 및 급수시설 등을 점검한다.
    ○ 목초가 20∼25cm 자랐을 때 가축을 방목하며, 이때의 목초 영양분 함량은 조단백질 15∼20%, 조섬유 21∼25%, 소화율 65∼70%이다. 한우의 초지방목으로 조사료비 58%, 배합사료비 25%의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