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추 초기에 저온에서 사육하게 되면 출하 시 생산성이 많이 떨어지므로, 저온기에는 외부의 신선하고 차가운 공기가 계사 지붕 아래의 따뜻한 공기와 충분히 섞여서 유입되도록 해야 합니다. 저온기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계사의 윗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밀폐도가 중요합니다. 건물의 밀폐도 즉, 음압이 올라가지 않는 주요 요인은 계사 건물에 틈새가 많아 입기구가 아닌 곳으로 샛바람이 들어와 입기구에서 충분한 유속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음압식 환기는 배기팬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시설 내부에 압력이 낮아진 만큼 입기구의 면적에 따라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원리에 의해 실시됩니다. 이때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Q)은 입기구의 총 단면적(A)과 입기구에서 형성되는 공기의 유속(V)의 곱으로 계산되는데, 틈새가 많아질수록 총 단면적이 증가하여, 그만큼 공기의 유속이 감소됩니다. 입기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유속이 감소하면 지붕 아래 시설 상단을 향해 충분히 뻗어나가지 못하고 측벽 주변의 닭에게 그대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찬 바람이 닭에게 직접 접촉되면 호흡기 질병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환기량에 맞게 적당한 크기의 입기구를 열어 적절한 음압이 형성되어야 외부의 차갑고 무거운 공기가 계사 바닥으로 그대로 떨어지지 않고 충분히 열교환이 실시된 후 닭에게 도달하게 됩니다.
특히 온도가 낮아질수록 공기 중에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 수분 포화도가 낮아져 결로가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깔짚이 질어지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충분한 열교환 과정과 가온을 거친 후 닭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수분 포화도를 높게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축산환경과 / 063-238-7449)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