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닭은 소나 돼지에 비해 단위체중 당 산소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2배 이상 많습니다. 또한 습해진 깔짚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등 유해가스로 인해 계사 내에 적절한 환기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 주지 않으면 생산성이 나빠지고 질병 발생이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환기는 계사 내의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악취 및 먼지 제거로 닭은 물론 작업자에게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단, 병아리는 성계보다 공기품질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14일령까지는 최소 환기를 실시해야 하는데, 이때 병아리에게 샛바람이나 순환팬의 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개방계사의 경우 측면 커튼의 개폐를 통해 자연환기를 시키게 되는데, 최적의 계사 내부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내·외부의 온도와 습도, 풍속, 풍향을 고려하여 커튼을 조절해주어야 하므로 세심한 관찰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추가로 순환팬을 설치하여 여름에 체감 온도를 낮춰주거나 겨울에 유입되는 찬 공기를 내부의 따뜻한 공기와 섞어줄 수 있습니다. 무창(환경조절)계사는 배기팬을 설치하여 강제 환기를 시키는데, 계사 규모 및 구조와 사육 수수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의 배기팬을 설치하고 입기구의 면적을 맞춰주어 적절한 음압이 유지되어 계사 전체에 고르게 일정 속도 이상의 풍속이 발생하도록 해야 합니다.
(가금연구소 / 033-330-95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