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확된 건초나 사일리지를 운반 및 저장하기 위해서 건초를 압축하는데 이와 같이 압축하는 기계를 베일러라고 하며 압축된 건초를 베일이라고 한다.
▣ 사각 베일러
○ 사각 베일러의 구조는 픽업장치, 오우거 장치, 압축장치, 베일쳄버 및 결속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동원리는 픽업장치로 목초지의 건초나 논에서 건조 볏짚을 걷어 올리면 오우거에 의하여 베일 챔버로 이송된 건초는 풀린저에 의하여 압축되는데 압축밀도는 텐션바에 의하여 조절된다.
○ 베일 길이가 성형되면 결속장치에 의하여 곤포가 만들어지며, 베일크기는 6×46cm 정도이며, 길이는 20∼130cm로 조정 가능하며 베일중량은 8∼35kg 정도이다.
▣ 라운드 베일러
○ 라운드 베일러는 원통의 베일러 직경이 1.2∼1.8m, 작업 폭이 2.1∼2.4m로 무게는 300∼600kg에 이른다. 사일리지는 주로 야외에 저장하며 스퀘어 베일러보다 노동력이 1/2∼1/3 정도 감소되며 구조는 픽업드럼, 안내 롤러, 결속장치, 벨트롤러, 후방 게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원리로는 건초를 픽업장치로 걷어 올리면 챔버에서 베일이 감기고 베일이 성형되면 결속장치에 의해 결속되어 롤러를 거쳐 후방에 있는 문으로 배출된다. 라운드 베일러의 종류는 고정 챔버식과 가변 챔버식으로 나누며 고정 챔버식은 다시 3종류로 나뉘어진다.
- 고정 챔버식
· still roller식 : 롤러에 의한 압축밀도가 높기 때문에 사일리지용 수단그라스 및 우리나라 자생 야초도 곤포가 가능하다.
· still BAR식 : 압축밀도가 다소 떨어지므로 부드러운 목초나 청예작물의 사일리지 조제용이나 건초 곤포에 적합하다.
· still+roller식 : roller식과 BAR의 복합 형태 기능을 가진 방식이다.
- 가변 챔버식
압축밀도는 still식이나 still BAR식 중간정도이며 이 베일러의 장점은 120×170cm까지 베일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라운드 베일러의 크기는 120×120cm와 120×150cm 기종으로 곤포 시 무게는 건초가 250∼350kg, 사일리지는 350∼700kg 정도이며 그물망형 끈을 사용하면 수거율이 매우 높다. 작업 요령은 라운드 베일은 경사 초지에서는 굴러떨어지므로 경사 반대 방향이나 안전장소로 하여 배출한다. 시간당 작업능률은 20∼25단 정도이다.
● 본 자료는 참고용으로 바뀔 수 있으므로 정확한 사업 내용은 농림축산식품부 ‘조사료생산기반확충 사업시행지침’ 참고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