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닭전염성기관지염(Infectious Bronchitis, IB)은 Coronaviridae Coronavirus에 속하는 닭의 IB바이러스가 원인체로서, 30종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고 이들 각각이 다른 변형을 나타내며, 서로 간의 교차면역성도 거의 없습니다. 이 질병은 잠복기(18∼36시간)가 짧고 전파력이 대단히 빠르며 보통 감염 후 24시간 이내에 전 계군으로 질병이 확산됩니다.
증상은 보통 감염계의 기관, 장, 신장, 수란관 등이 주요 바이러스 표적장기입니다. 우리나라 육계에서 흔히 발생하는 일령은 20일령 전후로 갸륵거리는 호흡음을 내거나 휘파람소리, 기침, 재채기를 하면서 심하면 콧물이나 눈물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것만으로는 다른 호흡기질병과 구별이 어려우나 자주 계사에 들어가면 일반적으로 휘파람소리가 나고 닭들이 몰리는 현상이 관찰되는 경우는 거의 전염성기관지염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몇몇 바이러스들은 유독 신장염이나 신장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에 10%∼50%의 높은 폐사를 일으키기도 하며, 증체율 저하와 설사를 유발합니다. 산란계의 경우 2주령 이하의 어린 병아리가 감염되면 심한 호흡기 증상을 유발함과 동시에 난소(ovary)나 수란관(oviduct)이 손상을 입거나, 때로는 알을 못 낳는 무산란계가 되기 쉽습니다. 또한 대장균이나 마이코플라즈마와 같은 세균과 복합 감염되면 피해는 더욱 심해집니다. 이 질병의 바이러스는 매우 다양한 혈청형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최근 유행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육계에 감염 시 신장염을 유발하는 변이형 IB바이러스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IB바이러스는 야외농장에서 쉽게 변이되며 서로 다른 변이형이나 혈청형 간에는 상호 교차반응이나 교차면역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예방백신 접종만으로는 100%의 방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질병으로서 올-인, 올-아웃의 사양 형태를 취하는 등 외부로부터 농장 내로의 병원체 유입을 차단하는 방법이 선행되어야만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는 질병입니다. 호흡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2차적인 세균감염을 막기 위해 지용성 비타민 A·D·E제제와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가금연구소 / 033-330-95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