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는 전파가 빠르고 병원성이 다양하며, 닭, 칠면조, 야생조류 등 여러 종류의 조류에 감염되는데, 주로 닭과 칠면조에 피해를 주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오리는 감염되더라도 임상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원인체는 바이러스이며 병원성에 따라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구분되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는 국내에서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임상 증상은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라 다양하며 호흡기 증상, 설사, 산란율의 급격한 감소, 벼슬 등 머리부위에 청색증을 보이며,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라 폐사율은 0∼100%로 다양하며 산란율도 40∼50% 저하 또는 산란 중지로 다양합니다.
혈청형의 특징은 144종류로 다양하게 분류(H1∼H16, N1∼N9)되는데, 혈청형은 두 종류의 단백질(HA, NA)에 의하여 분류되며 현재까지 HA는 16종류, NA는 9종류가 보고되었습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 대부분 국가들이 살처분을 하고 있으며 발생 국가는 양계산물을 수출할 수 없습니다.
(가금연구소 / 033-330-95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