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축산 경영주는 어떠한 축종을 선택하여 사육하든지 반드시 토지를 비롯한 축사시설, 농기구, 종축, 기타 생산자재와 자금 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재산들은 경영을 계속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 변동이 크기 때문에 단순히 기억력에 의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기록을 해야 합니다. 경영상황을 기록하고 이를 항목별로 계산하여 정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단식부기와 복식부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식부기는 재산의 변동 상황을 한 계정(재산, 자본, 수익, 비용의 종류별 증감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기록 계산하는 단위)에만 기록하고 계산하여 정리하는 방법으로 일정한 기장원칙이 없이 금전의 출납에 관한 사항과 재산의 증감만을 기록하는 간단한 기장 방법입니다. 따라서 재산 상태는 파악할 수 있으나 자본과 손익에 관한 기록이 불완전하여 순 손익만으로 재산 상태의 변화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복식부기는 거래의 발생을 차변과 대변요소로 구분하고 차변에는 토지, 건물, 농기계, 현금 같은 자산을 기입하고 대변에는 외상매입금, 차입금 같은 부채와 자본을 기입하는 과학적인 기장 방법입니다. 또한 거래가 완료될 때 언제나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이 대차 균형의 원리에 의해 일치해야 하며, 이러한 일치는 자기검정 기능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경영주의 회계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기술지원과 / 063-238-70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