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닭)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마렉병 발생으로 인한 폐사와 발생 이후 진행 과정은 무엇인가요
    작 성 일 2023.06.27 조 회 수 224
    첨부파일

    Ⅷ. 위생과 질병-22. 마렉병 발생으로 인한 폐사와 발생 이후 진행 과정은 무엇인가요.pdf (594KB) ( 다운횟수 152 )     다운로드     바로보기

    마렉병은 감염 시기에 따라 피해 정도에 차이가 큽니다. 부화장에서 마렉백신을 접종하는데 면역력이 생기려면 한 달 정도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즉 30일령까지는 방어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병아리가 마렉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차단방역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30일령 이후에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방어력을 소유한 개체가 많아집니다. 따라서 30일령 이전에 감염된 경우가 30일령 이후에 감염된 경우보다 많은 피해가 발생합니다.

    조기에 감염될수록 폐사도 조기에 발생합니다. 즉 마렉병 발병 일령이 빠를수록 큰 피해가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마렉병이 발생해도 산란 피크에 도달하면 피해가 없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과 다릅니다. 발생 시기가 30일령 이전이면 도태할 때까지 정상보다 훨씬 많은 폐사가 발생하고 많은 약추가 발생합니다. 산란율도 정상계군보다 10% 이상 감소합니다. 산란을 임박해서 마렉병이 발생하는 것은 감염 시기가 늦은 것을 의미하므로 산란피크에 도달하면 폐사도 감소하고 생산성에도 큰 영향은 없습니다. 즉 마렉병은 감염 시기가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어린 일령에 감염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가금연구소 / 033-330-95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