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안법은 작은 물방울이 일반적으로 30㎖당 1,000개 정도로 적하될 수 있도록 비강이나 눈에 백신 현탁액을 넣는 방법으로서 도구가 점막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피하고 백신병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백신 희석액은 육안으로 선명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색채를 띠어야 되며 적당량이 접종되어야 합니다. 이 방법은 국소와 전신면역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제3안검 뒤의 눈물샘이 착색됩니다. 점안 접종은 1차 백신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하며, 전염성후두기관염의 경우는 이 방법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점안 접종법은 종종 오일백신 접종(뉴캐슬병, 감보로병 등)과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부리침지법은 1,000수당 약 150∼200㎖의 백신액으로 부리에 침지 접종하는 방법으로서 1주령 이내의 병아리에서 가능합니다. 몇몇 나라에서는 아직도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뉴캐슬병과 감보로병이 1주령 이내의 병아리에서 자주 발생할 경우 이 방법은 거의 100% 백신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호흡기반응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천자법은 계두백신에서 유일하게 이용되는 방법으로 날개의 얇은 피부면을 단침 또는 쌍침을 이용하여 천자하는 방법입니다.
근육 또는 피하 접종법은 생백신을 사용 직전에 희석하여 주사하거나 불활화백신을 주사하는 방법으로 기구는 반드시 멸균처리 해야 하는데, 주삿바늘의 길이는 2주령 이하에서는 0.7㎝, 2주령 이상에서는 1㎝ 정도여야 합니다. 바늘의 직경은 오일백신의 경우 약 1㎜ 정도 되어야 하며, 적어도 500수마다 바늘을 교체해야 피부나 근육이 상하지 않습니다. 오일백신의 경우 사용하기 몇 시간 전에 냉장고에서 꺼내두었다가 사용하는 것이 주사하기가 부드럽습니다. 피하 접종 경로는 닭의 경부후면이 적합하며, 특히 오일백신 접종 시 유용합니다. 근육 접종은 종계나 산란계에서 불활화 오일백신을 접종하는 데 유용하며 산란개시 전에 접종하여야 하고 접종부위는 일반적으로 흉근을 이용합니다.
(가금연구소 / 033-330-95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