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ㆍ산육 효율(performance, PE) : 생체중과 사료요구율을 하나의 수치로 모아서 표시 합니다.
* 공식) 산육 효율(PE) = 생체중(lb)÷사료요구율×100
* 예시) A계군 : 체중 1,900g, 사료요구율 2.0, B계군 : 체중 2,100g, 사료요구율 2.1
- A계군 PE =〔(1,900÷454)÷2.0〕× 100 = 209
- B계군 PE =〔(2,100÷454)÷2.1〕× 100 = 220
⇒ 산육 효율은 생체중이 높고 사료요구율이 낮을수록 커지는데, 값이 높을수록 좋습니다.
ㆍ생산성 지수(PN)
* 공식) 〔평균생체중(g)×생존율(%)〕÷〔사육기간(일)×사료요구율〕÷ 10
예시) A계군 : 사육일수 7주, 체중 2,200g, 생존율 97%, 사료요구율 2.0
B계군 : 사육일수 7주, 체중 2,300g, 생존율 96%, 사료요구율 1.9
- A계군 PN = (2,200×97) ÷ (49× 2.0) ÷ 10 = 217.8
- B계군 PN = (2,300×96) ÷ (49×1.95) ÷ 10 = 231.1
⇒ B계군이 생산지수가 높습니다.
(가금연구소 / 033-330-9500)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