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연구보고서
제목, 주관연구기관, 발행일자, 발행연도, 저자, 원문보기, 주제어, 내용으로 구성된 시험연구보고서 글 상세입니다.
제목 |
축산물 공급체인 단계별 부가가치 제고 기술개발 전략 수립 |
주관연구기관 |
국립축산과학원 |
발행일자 |
2013-02-00 |
발행연도 |
2013 |
저자 |
|
원문보기 |
원문보기 |
주제어 |
|
초록: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축산업은 부가가치 비중이나 성장률을 고려할 때 농업의 성장동력이라고 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09년 농림어업부가가치(2005년 가격기준)는 29조 3천억이며, 이중 축산업부가가치는 7조 2천억으로 24.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00~2009년 동안에 농림어업 부가가치는 연평균 1.8%가 성장하였으며, 축산업부가가치는 4.8%가 성장했다. 그러나 국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가축질병, 한미 FTA 등으로 인한 시장개방압력 증가, 옥수수가격 및 석유가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 국민경제여건의 악화, 웰빙(Well-being)붐 등으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축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 부가가치 창출을 통하여 축산업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개방화로 인하여 생산측면에서는 생산기반이 불안정한 상태이며, 소비 측면에서는 2000년 이후 가축질병 발생, 국민경제여건의 악화, 웰빙(Well-being), LOHAS 등으로 신선육류 및 육가공품 소비가 정체됨에 따라 새로운 발전방향의 모색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축산물은 생산단계에서는 단일 형태(소, 돼지, 닭)이지만 소비단계에서는 복합 형태(예 : 돼지고기는 등심, 안심, 삼겹살 등으로 구분)로 생산단계의 가치사슬을 파악함으로서 축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부가가치창출 및 유통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축산물의 공급체인 단계별 연계구조 및 속성을 파악하고 공급체인 경로 유형 및 단계별 마진을 분석함으로서, 주요 축산물을 대상으로 공급체인 단계별 부가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기술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