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연구보고서
제목, 주관연구기관, 발행일자, 발행연도, 저자, 원문보기, 주제어, 내용으로 구성된 시험연구보고서 글 상세입니다.
제목 |
축산 연구결과 신기술의 농가현장 실증시험 |
주관연구기관 |
국립축산과학원 |
발행일자 |
2014-01-00 |
발행연도 |
2014 |
저자 |
|
원문보기 |
원문보기 |
주제어 |
Black goat;body weight;feed intake;mortality;reproduction;BEP(Bio-photon Energy Projector);dairy cattle;pig;milk production;body weight;mortality rate;reproduction; |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1. 한우 암소 비육유형별 사육기술 ○ 경산우 비육시 미생물제제를 급여하므로 도체중이 325.8kg/47.2개월령에서 345kg/44.2개월령으로 높아졌고, 육량등급지수(2.2→2.3)와 육질등급지수(2.6→3.5)도 높았다. ○ 한우 경산우 비육 출하 월령별이 높을수록 육량형질이 좋아 60~70개월령에 도체중이 367.1kg, 배최장근단면적 92.9(cm2)로 가장 높았으나 육량등급지수 2.0, 육질등급지수 3.1로 가장 낮았다. ○ 경산우 비육의 산차가 높아질수록 출하개월도 42.5에서 61.7개월령으로 높아졌고 분만 후 비육 개월령은 16.3에서 11.8개월령으로 낮아졌다. ○ 한우 암소비육의 산차수가 1에서 3산차로 높아질수록 생체중은 585.6에서 576.9kg 으로 낮아졌고, 도체중은 349.2에서 335.2kg으로 낮아졌다. ○ 미경산우의 비육중 개월령별 체중은 4개 농장의 80두 평균은 17.8개월령 413kg을 나타내었고 비육 550일령 이후 개체간의 체중 차이를 많이 보였다. 2. 가축분뇨 펠릿 퇴비화 및 고형물 연료화 기술 ○ 우분 깔짚분뇨의 펠릿제조는 15KW 용량 제조기에서 펠릿 직경 6~8mm 출구를 통하여 시간당 235kg이 생산되었다. ○ 펠릿 제조시 우분원료 수분이 32.9% 였으나 펠릿 제조 후 25.1%로 감소되었고, 펠릿은 물속에서 10시간째 95.7(%/10h. wt.)의 용해도를 보였다. ○ 우분 깔짚분뇨의 펠릿 무게의 변화는 펠릿 배출 시점을 100% 기준으로 실온상태에서 20일째 82.5% 수준까지 감소되었다. ○ 펠릿의 압축강도는 수분함량 24.7%와 직경 5.7mm인경우는 33.0N을 나타내었다. ○ 가축분을 유기폐자원 연료화장치(TFM) 방식을 적용한 고형물 연료화로 한우 깔짚분뇨는 처리전 2,212에서 6,267kcal/kg으로 높아졌고, 돼지 슬러리 연료화 고형물은 7,017kcal/kg로 가장 높은 열량을 보였다. 3. 기후변화 대응 가축 사료작물 생산성 향상 기술 ○ 경기북부지역 동계사료작물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재배로 춘계파종의 수확량은 IRG 단파구에서 ha당 20톤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청보리나 호밀 단파 및 IRG와 혼파구에서는 ha당 15톤으로 나타났다. ○ 월동이 곤란한 중북부지역 밭 토양 또는 적기 파종을 하지 못한 지역에서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등 동계사료작물을 해동이 시작하는 2월 하순~3월 중순 파종으로 5~6월에 생초수량은 ha당 18톤정도 수확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 한우 사육 섬유질배합사료 자동공급장치 활용 사료급여 효율 ○ TMR 자동원료공급장치 설치로 소요 노동력 감소 - 고용 노동력을 705분에서 675분으로 30분 감소(4.3%) - 감소되는 노동력 비용 경제성 분석 · 10분×3명×300일×(10,100원/60분) = 1,515,000원(3인의 월평균 급여 : 202만원) 5. 임신 모돈의 유질개선을 위한 목단피추출물 첨가사료 급여효과 ○ 임신 모돈에게 목단피추출물 첨가사료 급여로 이유두수 6.7% 증가, 폐사율 4.23% 감소, 이유체중 2.4% 증가되는 등 번식 및 발육성적을 향상시켰다. ○ 면역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물질인 IgG, IgA 함량을 각 5.4%, 6.2%씩 증가시켰다. 6. 분만 자돈사 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적정환경 분석 시스템 ○ 돼지 이유 후 자돈의 환경제어 모니터링을 통한 일당증체량이 271g에서 319g으로 48g이 향상되었다. ○ 돼지의 분만자돈사 환경관리로 육성율이 96.1%에서 98.9%로 증가되었다. 7. 흑염소 축사의 환경개선사업으로 번식효율 향상 및 고급육 생산 ○ 흑염소 방목구와 사사구의 발육성적 암컷은 개시 시 사사구는 평균 17.7kg, 방목구는 평균 22.8kg으로 방목구가 높았으나 시험종료 시 증체량은 각각 13.6kg 및 10.1kg으로 사사구가 유의적으로(P< 0.05) 높았다. ○ 거세 흑염소를 사사와 방목으로 195일간 사육한 발육성적은 개시 시 사사구는 평균 16.7kg, 방목구는 평균 14.1kg으로 사사구가 높았다. 시험 종료 시 증체량은 각각 15.36kg 및 11.58kg으로 사사구가 유의적으로(P< 0.05) 높았다. ○ 흑염소 암컷의 번식성적은 사사구와 방목구에서 각각 52두 씩 분만하였으며 복당 산자수는 각각 1.44두 및 1.42두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 어미염소의 유사산율은 사사구 및 방목구 각각 7.7% 및 3.9%로 사사구가 높았다. ○ 겨울철 폐사두수는 사사구 및 방목구 각각 8두씩 같았으며 정상 분만두수 대비폐사율은 각각 11.6% 및 11.3%였다. 8. 동물복지형 산란계 사육시설 모델 개발 ○ 다단식 사육시설의 운영으로 월 평균 산란율 53.6%, 파란율 1.3%, 폐사율 2.1%였다. ○ 산란계 1,200수 사육시 필요로하는 면적은 기존 평사시설의 297㎡에서 다단식 사육시설은 165㎡로 사육밀도는 1.8배 증가하였다. 9. 비침습 면역증진기기 활용 가축생산성 향상 ○ 젖소농가 적용결과 전년동기 대비 체세포수 35.6~36.4% 감소, 산유량 0~1.3% 증가 ○ 양돈농가 적용결과 대비구 대비 일당증체량 16.7% 증가, 이유후 자돈 폐사율 9.0%P 감소 10. 새로운 사료작물 케나프 재배 ○ 사료용 옥수수를 재배가 어려운 습한 토양이나 야생동물의 피해가 많은 밭에서 케나프 재배로 조사료 생산이 가능하였다. ○ 케나프를 5월 중순 ~ 6월 초순에 파종하여 8월 하순 ~ 9월 중순에 수확하면 생초수량은 ha당 40,000kg이었다. 11. 접이식 진압장치 활용 사료작물 안정생산 ○ 사료작물 재배 접이식 진압기 활용시 ha당 시간은 접이식진압기 20.9분으로 일반형33.9분보다 13분 단축되었고 연료비는 1.790ℓ절약되었다. ○ 월동사료작물 호밀의 파종후 30일경 초기생육 초장에서 진압은 11.3cm로 무진압8.1cm보다 높았다. 12. 축산물 생산·유통·소비 활성화 모델(조합) 개발 ○ 축산 6차 산업화의 유형 분류 및 특징에 대한 분석 : 유통형, 어메니티형 ○ 축산 6차 산업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 사례 발굴(30개소)하여 「현장에서 찾은 6차 산업의 미래 축산 명장들의 창조 경영 노하우」사례집 발간 ○ 축산 6차 산업화 운영 지원사업 및 농장운영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낙농이 타축종에 비해 지원사업에 대하여 만족도가 높음. 기존까지 목장형 유가공에 대한 기술 및 시설지원, 체험프로그램 운영 지원 등 지원하여 왔으나 마케팅(판로개척)에 대한 지원이 필요. 낙농 외 타 축종에 대한 다양한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 ○ 농장운영 과정 중 문제점과 요구사항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목장형 유가공시설에 대한 HACCP 기준 점진적 적용, 교육체험장에 대한 전문적인 강사육성 및 인력풀 구축, 축종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지원, 운영자에 대한 새로운 명칭부여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