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연구보고서

    공공누리 마크가 없는 자료는 권리확인이 필요하오니 상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발행처로 협의요청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시험연구보고서 바로가기

    제목, 주관연구기관, 발행일자, 발행연도, 저자, 원문보기, 주제어, 내용으로 구성된 시험연구보고서 글 상세입니다.
    제목 축산물 신시장 개척을 위한 시장분석 및 마케팅 전략
    주관연구기관 국립축산과학원 발행일자 2012-01-00
    발행연도 2012 저자 천동원
    원문보기

    원문보기

    주제어
    초록:  □ 과제명 : 축산물 신시장 개척을 위한 시장분석 및 마케팅 전략 ▶ 연구목적 : ○ 축종별 기술시장분석에 의한 필요기술 개발 및 마케팅으로 부가가치제고 방안 구명 ○ 신시장 개척을 위한 축산기술 R&D의 전략적 방향 설정 ▶ 주요연구내용 : ○ 1세부과제명 : 축산농가의 경영진단 및 마케팅 전략방안 개발 - 발효생햄의 판매가격을 현재 판매단가인 180천원/kg(A), 외국산의 중저가 하몽100천원/kg(B), 저가 하몽 59천원/kg(C)로 가정하여 10년간의 투자효과가 “+”로 나타나는 판매량을 추정한 결과, A시나리오에서는 연간 525kg, B시나리오에서는 985kg, C시나리오에서는 1,790kg 이상을 생산, 판매하여야 투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나리오별 각 단가에 따른 투자효과가 발생하는 최소 순수익을 살펴보면, A시나리오에서는 연간 525kg 생산 시 순수익이 37,269천원B시나리오에서는 985kg 생산 시 순수익이 36,925천원, C시나리오에서는 1,790kg생산 시 36,645천원의 순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목장형 유제품은 수익성이 높아 10년간의 투자효과 분석결과 높은 소득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0년간의 농가 호당 NPV는 563,013천원으로 B/C ratio는 4.0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입량의 증가와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등을 예상하여 치즈가격 16천원/kg, 발효유 6천원/ℓ으로 가정하고, 치즈의 시장성장율 10.62%, 발효유 성장률 3.79%(추정치)로 가정하여 농가 호당 투자효과를 분석한 결과 10년간의 농가 호당 NPV는 24,643천원 B/C ratio는 1.1으로 여건변화에도 투자의 타당성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양돈농가는 농가형 축산가공품(발효생햄 등)을 생산하기 위한 필요기술에 대하여 “생산기술”을 41.6%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였고, 그 다음으로 “시설관리” 28.4%, '관련법규“ 18.4% 순으로 평가하였는데 이는 신제품의 생산이 아직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시장가능성 보다는 생산과 관련된 기술을 더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 낙농농가는 농가형 축산가공품(목장형 발효유, 신선치즈 등)을 생산하기 위한 필요기술에 대하여 “생산기술”을 48.1%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였고, 그 다음으로 “시설관리” 27.2%, '마케팅“ 15.3% 순으로 평가하였는데 이는 신제품의 생산이 초기 단계이지만 판로만 확보되면 생산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2세부과제명 : 축산물 국내외 시장분석을 통한 신상품 개발 방안 및 경제적 효과 분석 - 발효생햄은 사업기간(2011~2030년) 동안에 시나리오Ⅰ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589백만원(NPV > 0), 시나리오Ⅱ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1,179백만원(NPV > 0), 시나리오Ⅲ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915백만원(NPV > 0), 시나리오Ⅵ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1,840백만원(NPV > 0)으로 사업화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목장형 발효유는 사업기간(2011~2030년) 동안에 시나리오Ⅰ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4,571백만원(NPV > 0), 시나리오Ⅱ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9,151백만원(NPV > 0), 시나리오Ⅲ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5,642백만원(NPV > 0), 시나리오Ⅵ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11,285백만원(NPV > 0)으로 사업화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신선치즈(스트링치즈)는 사업기간(2011~2030년) 동안에 시나리오Ⅰ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2,180백만원(NPV > 0), 시나리오Ⅱ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4,358백만원(NPV > 0), 시나리오Ⅲ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3,661백만원(NPV > 0), 시나리오 Ⅵ의 사업가치 추정결과는 7,324백만원(NPV > 0)으로 사업화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0]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