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연구보고서

    공공누리 마크가 없는 자료는 권리확인이 필요하오니 상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발행처로 협의요청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시험연구보고서 바로가기

    제목, 주관연구기관, 발행일자, 발행연도, 저자, 원문보기, 주제어, 내용으로 구성된 시험연구보고서 글 상세입니다.
    제목 지구온난화에 대응한 탄소절감형 축산물 유통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국립축산과학원 발행일자 2015-03-00
    발행연도 2015 저자
    원문보기

    원문보기

    주제어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 1세부과제명 : 탄소절감형 도축 및 식육생산 기술개발 - 쇠고기 및 돼지고기 생산단계 탄소소비(발생)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였음 - 부분육 숙성 가속기 모형을 제작하여 도축가공 부분육 전기자극(부분육 숙성 가속기) 처리가 탄소절감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 결과 전기자극을 통하여 전단력 감소로 숙성기간을 14일 단축하였으며 이것은 쇠고기 1kg당 106.166g CO2-eq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한 것과 같았음 - 부분육 가공단계 숙성조건이 탄소절감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 결과 숙성온도의 변화로 인한 숙성단축효과: 정육 전체에 대해 소나무 흡수량으로 환산했을 때 50,732 그루를 식재한 것과 같았음 ○ 2세부과제명 : 탄소절감형 가공 및 유통기술 개발 - 국가별 식육의 탄소배출량 산정시 기능단위는 생체중, 온도체중, 도체중, 정육 대비 kg 기준이었으며 활용 DB와 방법에서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음. - 국내산 한우와 돼지고기 각 1kg이 소비이전까지 발생하는 총 배출 CO2양은 각각 27.75kg, 12.44kg이었으며, 한우와 미국산 수입쇠고기 각 1kg이 소비이전까지 발생하는 CO2양은 한우가 총 27.75kg, 미국산 쇠고기가 총 108.2kg이었다. - 국내산 햄제품의 탄소배출량은 약 0.0032-0.0039kgCO2 수준이었으며 탄소절감 방안으로는 용수와 전력사용량 감소, 폐수슬러리 감소, 생산설비 및 조명시설 효율성 개선을 통하여 가능하였음. - 식육 생산, 도축, 가공 및 유통단계 탄소배출량 데이터베이스와 산정방법 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탄소배출량 계산프로그램을 개발하였음. - 식육 도축, 가공 및 유통단계 탄소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절감형 인증 매뉴얼을 확립하였음.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0]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