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연구보고서

    공공누리 마크가 없는 자료는 권리확인이 필요하오니 상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발행처로 협의요청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시험연구보고서 바로가기

    제목, 주관연구기관, 발행일자, 발행연도, 저자, 원문보기, 주제어, 내용으로 구성된 시험연구보고서 글 상세입니다.
    제목 축산물 브랜드 현황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주관연구기관 국립축산과학원 발행일자 2014-12-00
    발행연도 2014 저자
    원문보기

    원문보기

    주제어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 축산물 브랜드 현황 및 활동 현황 조사 ○ 축산물브랜드 현황조사 결과, 등록브랜드는 전년대비 92개(21.9%), 출원(미등록)브랜드는 전년대비 37개(94.8%) 증가하였으며, 한우 등록브랜드는 전년대비 56개 (39.4%), 출원(미등록) 브랜드는 전년대비 5개(71.4%) 증가함 ○ 축산물 브랜드 경영체 가공․유통부문 성과분석 <한우 브랜드 부문> - 한우브랜드 경영체의 소매판매비율은 2005(50.9), 2008(58.2%), 2011(73.3%)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지만 아직도 기대치에 다소 못 미치고 있음. - 2011년도 브랜드 경영체 29개소의 소매판매비율을 분석해 보면 100%인 브랜드 경영체(4개소), 60%이하인 브랜드 경영체(8개소)로 경영체간 소매판매 편차가 큼 - 소매판매비율은 유통, 소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며 브랜드 경영체의 자립화 및 일반 소비자를 상대로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항목임 <돼지고기 브랜드 부문> - 돼지고기브랜드 경영체의 소매판매비율은 상당히 높은편이며, 2005(81.4%), 2011(83.5%) 판매수준을 보이고 있음. - 소매판매비율이 높은 이유는 1990년부터 시작되어온 양돈계열화, 전문화, 특성화를 통한 브랜드 사업의 긍정적 결과임 ○ 국내산 브랜드별 구매패턴 - 국내산 신선 쇠고기의 브랜드상품 구입액 비중은 8.4%로 나타났고, 그 중 일반브랜드 6.5%, 지역브랜드 1.9%로 조사 됐음 - 일반쇠고기 구입처별 구입액 비중은 ‘정육점 22.9%> 대형마트 20.2%> 대형슈퍼 19.9%> 소형슈퍼 14.5%’ 순으로 그 편차가 크지 않게 고루 분포 되었으나, 쇠고기 브랜드 상품의 구입처별 구입액 비중은 ‘대형마트 75.4%> 대형슈퍼 13.0%> 정육점 3.5%> 재래시장 2.2%’ 와 같이 대형마트(일반브랜드 85.4%, 지역브랜드 23.1%) 집중 현상이 심화됨 - 신선돼지고기의 브랜드상품 구입액 비중은 25.6%로 나타났고, 그 중 일반브랜드 16.3%, 지역브랜드 9.3%로 조사됐음 - 신선돼지고기의 브랜드상품 구입가격(1,430원/100g)이 평균가격(1,280원/100g)보다 12%높게 나타났고, 일반돼지고기의 평균가격(1,250원/100g)보다 14% 높게 조사됐음. 브랜드 중 지역브랜드의 구입가격(1,498원/100g)이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일반브랜드(1,397원/100g) 순으로 나타났음 - 신선돼지고기의 브랜드상품 구입가격(1,430원/100g)이 평균가격(1,280원/100g)보다 12%높게 나타났고, 일반돼지고기의 평균가격(1,250원/100g)보다 14% 높게 조사 됐음. 브랜드 중 지역브랜드의 구입가격(1,498원/100g)이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일반브랜드(1,397원/100g) 순으로 나타났음 - 신선닭고기의 일반닭고기 구입액 비중은 66.5%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상품 구입액 비중은 33.5%(일반브랜드 33.1%, 지역브랜드 0.4%)로 조사됐음 - 신선닭고기의 브랜드상품 구입가격(832원/100g)이 평균가격(815원/100g)보다 2% 높게 나타났고, 일반닭고기의 평균가격(790원/100g)보다 5% 높게 조사됐음 □ 축산물 미래대응 소비자 의식조사 ○ 연간 축산물 총 소비 현황(1인당) - 쇠고기 소비량은 가정 내 6.33kg, 가족 외식 2.40kg, 선물용 1.71kg 소비하였고 연간 1인당 쇠고기 총 소비량은 10.44kg이며 이중 한우가 66.2%를 차지함 - 1인당 소비하는 총 돼지고기 양은 약 21.87kg이며, 이중 국내산은 17.23kg으로 수입산은 4.64kg임 - 연간 1인당 닭고기 총 소비량은 12.45kg로 나타남 - 연간 1인당 오리고기 소비량은 3.46kg이며 오리고기는 가정 내 소비보다는 외식 소비(89.6%)가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 ○ 소비 스타일로 분류한 소비 집단 구조 ○ 축산물 소비 관련 소비자 행동 및 태도 <한우고기> - 현재 한우 소비는 정체되어 있지만 향후 의향면에서는 소비에 긍정적 태도가 높음rh 소비 의향으로 본 한우 소비촉진을 위한 1차 Target층은 Valueism과 Gourmandism 층이며 2차 Target층은 Cheapism 층 - 본인 판단보다는 정부 관리 기준인 등급표시, 이력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함 - 마블링은 부드러운 육질의 고기와 상관성이 높다고 생각하며, 마블링이 많다고 건강에 더 해롭다는 것에 대한 공감하는 정도는 낮은 편. <돼지고기> - 돼지고기 구입 시 특정 가족 구성원을 고려하는 경우는 약 55%이며, 30~40대 남성(남편) 위주로 구입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돼지고기 소비량은 전년 대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정 외 외식에서 소비량 증가가 좀 더 높게 나타남 <닭·오리고기> - 향후 닭고기 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며 특히 배달에서 많이 증가할 것으로 보임. - 오리고기는 가격부담해소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며, 구입편의, 유통기간, 신선도(위생상태)와 맛/육질을 지속적으로 개선 필요 ○ 축산물 소비 촉진 관련 소비자 Needs <한우고기> - 소비촉진을 위해서는 가격> 품질개선 >건강상의 문제 해결 > 조리법개발>제품개발등의 순으로 정책 방안 모색이 필요 - 부드러운 육질에 대한 Needs가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건강을 고려한 기능성 품질에 대한 Needs가 높게 나타남 <돼지고기> - 향후 돼지고기 소비 장애 요인으로는 건강 위해성>가격>품질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조리법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맛과 관련한 품질보다 신선도(위생상태)에 좀 더 중점을 둔 품질 개선필요 <닭·오리고기> - 신선도(위생관리) 측면이 맛 관련 품질 측면보다 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 - 세부 품질보다 등급 판단 정보가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0]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