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연구보고서

    공공누리 마크가 없는 자료는 권리확인이 필요하오니 상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발행처로 협의요청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시험연구보고서 바로가기

    제목, 주관연구기관, 발행일자, 발행연도, 저자, 원문보기, 주제어, 내용으로 구성된 시험연구보고서 글 상세입니다.
    제목 축산 연구결과 신기술의 실용화 현장실증시험
    주관연구기관 국립축산과학원 발행일자 2015-01-00
    발행연도 2015 저자
    원문보기

    원문보기

    주제어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1. 한우 암소(미경산우) 비육유형별 사육기술 ○ 한우 미경산우 66두에 대한 비육 중 생후 개월령별 체중을 206회 측정한 결과 회귀선형식 y = 20.75x + 1과 결정계수(R-squared)는 R2 = 0.8793의 지표를 보였다. ○ 미경산우의 15개월령 난소결찰 비육은 19.6~27.0개월령(226일)에 일당증체량이 0.632kg으로 무처리의 19.0~28.1개월령(278일)의 일당증체량 0.738kg보다도 낮았다. ○ 한우 미경산우의 난소결찰 시술 후 비육 중 초음파 진단결과 27.0개월령 등지방두께 11.9mm, 근내지방도 3.8로서 무처리 25.5개월령 등지방두께 12.1mm, 근내지방도 4.6보다 낮았다. ○ 한우 미경산우 비육중 미생물제 급여 유무에 따른 일당증체량은 14~19개월령까지 조사에서 무처리구는 0.805kg으로 첨가제 급여구 0.803kg과는 차이가 없었다 ○ 한우 미경산우 비육 출하 시 농장별 특성은 도축은 30.6~35.1개월령에 이루어졌으며, 난소 결찰 축군은 35.1개월령 출하 생체중은 650kg으로 미결찰 20.6~33.5개월령 653~669kg보다 낮았고, 또한 도체중도 난소결찰은 375kg으로 미결찰 383~394kg보다 낮았다. ○ 미경산우 비육 농장별 도축 육량(표 1-6)의 특성으로는 등심단면적은 정읍이 97.7㎠로 남해 85.1㎠, 연천 90.1㎠, 아산 89.0㎠보다 유의적(p=0.004)으로 넓었고, 등지방두께, 육량지수, 육량등급지수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 미경산우 비육 농장별 도축 육질 특성으로는 정읍농장이 근내지방도 6.8, 육질 등급지수 4.2로 남해4.3, 29, 연천5.0, 3.1, 아산 5.6, 3.5 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 한우 미경산우 비육 출하 시 사료종류별 도축특성은 배합사료 급여군은 34.1개 월령으로 TMR 급여 30.6~33.5개월령보다 높았으나 체중은 도체중 377kg/생체중 651kg으로 TMR 급여의 도체중 394kg/생체중 665kg과 TMR+보리싹 급여의 도체중 394kg/생체중 665kg보다 낮았다. ○ 도축 육량 특성은 등심단면적은 TMR 급여가 97.7㎠로 가장 넓었으며, TMR+보리싹 급여 90.1㎠은 사육 개월령이 낮은 것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배합사료의 88.0㎠는 난소결착에 의하여 등심단면적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도축육질 특성은 근내지방도는 사료종류별 차이성이 있어 TMR 급여가 6.8로 배합사료 5.3과 TMR+보리싹 5.0보다는 높았고, 육질등급지수에서도 TMR 급여가 4.2로 배합사료 3.3과 TMR+보리싹 3.1보다 높았다. 그러나 성숙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에는 유의적인 자이를 보이지 않았다. ○ 한우 미경산우 비육 출하 시 출하 개월령별 도축 특성의 체중은 난소결찰이 도체중 375kg/생체중 650kg으로 난소 미결찰의 도체중 392kg/생체중 665kg 보다는 낮았다. ○ 육질특성의 육질등급지수는 33~34개월령에서 난소결찰 4.0, 난소 미결찰 4.3으로 가장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결찰 처리의 근내지방도는 33~34개월령에서 가장 높은 7.0을 나타내었지만 성숙도 3.4, 육색 3.4, 지방색 2.8, 조직감 1.1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2. 젖소 우사 사육환경 개선 생산성 향상기술 ○ 젖소 프리스톨 설치이용 농가형태는 이용성에 따라 완전 프리스톨 형, 프리스톨+톱밥우사 혼합형으로 구분되었는데 프리스톨과 톱밥우사 혼합형에서는 프리스톨 이용성이 20~30% 수준이었고, 톱밥우사를 제공하지 않는 프리스톨 우사에서는 100% 프리스톨 우상을 이용하였다. ○ 젖소 프리스톨 사육환경 제공으로 유방염 및 부제병 발병증가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부제병의 경우 건강한 발굽상태를 유지하여 발굽삭제 횟수를 3개월 8~9두에서 7개월 8두로 감소되었다. ○ 프리스톨 시설개선으로 산차별 설치전후 305일 보정 우유생산성은 305일 유량은 211.3kg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UN 및 체세포수도 각각 –0.8(ml/dl), -50.3(천/ml)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성년형 우유 생산성 변화에서는 성년형 유량은 9,234kg에서 9,400kg으로 166kg과 성년형 유지량은 297kg에서 301kg으로 5.4kg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3. 육우 송아지 고기 생산 기술 ○ 육우 송아지를 도축하여 판매하는 시기는 6 ∼ 10개월령 구간이 가장 수익이 높았음 - 12개월령을 손익분기점으로 월령 올라갈수록 손해가 커짐 ○ 송아지고기의 출하처 확보 시 수입원으로서의 역할 기대 - 식육점이나 고급 식당으로 지육 kg당 1만원 이상으로 거래가격이 형성 될 경우 농가에는 새로운 수입원으로서 역할 가능성이 있음 4. 돼지에 IRG 펠릿급여 및 아몬드피 분말 바닥살포에 의한 악취저감 기술 ○ 암퇘지 사육에서 악취 저감을 위하여 사료 내 IRG 펠릿 및 5% 팜박 급여로 악취저감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음(홍성) ○ 돈사 바닥의 돼지분뇨에 두당 배설량의 0.5% 아몬드피 분말 바닥살포로 악취 저감효과가 확인되었음 - 악취유발 물질 phenols, indoles 등이 무처리에 비해 1/3씩 감소되었음 5. 모돈의 동물복지형 사양관리 기술적용 ○ 시험농가의 군사사육시설 기반(2중하우스, 바닥 콘크리트, 칸막이 등) 설치 등으로 시험축(모돈) 입식 지연(’14.12.2) ○ 시험농가의 군사사육시설 자동사료급이시스템 운영방법 이해 부족에 따른 모돈에 대한 사료 급이관리 부실로 종부 후 모돈을 스톨식 임신사로 이동(’15.1.22) - 1차 모돈 종부 결과 : 수태율 83.3%(종부 30두 → 25두 임신) ○ 시험농가에 대한 시스템 운영방법 재교육 및 시험축(후보모돈) 재입식(15.3.19) ○ 모돈군사사육시설 재입식 모돈의 종부, 분만, 발정재귀, 자돈 생산성 등 번식 성적은 2015. 8월말까지 모돈 사육 후 성적 도출 계획 ○ 자동사료급이시스템 운영상 문제점 발굴 : 모돈이 오전에 사료급이장치 진입시 1일치 사료가 모두 배출되지 않도록 오전과 오후에 2~3회 정도로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 필요 6. 산란계의 환경친화적 안정 사육기술 ○ 미생물제제 급여 및 계사 내․외부 살포를 통한 친환경적 사육으로 산란계의 생산성을 1.6% 향상시켰고, 강건성 증진으로 산란계의 폐사율을 0.14% 감소시킴 7. 토종 “우리맛오리” 생산성 향상 기술 ○ “우리맛오리” 사양에서 사료 중 유산균(바실러스, 고초균, 김치유래) 5% 첨가 급여로 폐사율(6→1%) 및 사료요구율( 2.05 → 1.69) 감소 8. 사료작물 작부체계와 가축분뇨 퇴액비를 이용한 조사료 최대생산 기술 ○ 하계 사료작물인 옥수수나 수단그라스는 8월 적기에 수확하였으나, 귀리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잦은 비로 인해 적기인 8월 중하순에 파종하지 못하고 9월 중순에 파종하였다. 따라서 동계사료작물 귀리 또는 IRG를 적기에 파종하기 위해서는 8월 중하순경 기상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되었다. ○ 하계사료작물인 옥수수 수확량은 포항은 42톤/ha인 반면, 예천은 재배초기 동안 잦은 강우 및 재배후기 가뭄피해로 인해 15톤/ha으로 나타났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0]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