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영농정보) 럼피스킨 백신 접종 횟수별 항체 양성률 비교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질병방역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한우 / 기타 |
주저자 |
복은영 |
기술유형 |
병해충(질병) / 병해(질병) |
기술활용유형 |
농업기술길잡이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기초·원천 기술 |
성과년도 |
2024 |
성과적용일 |
2024년11월 |
첨부파일 |
[제출자료] 영농정보_럼피스킨 항체 양성률_복은영.hwpx
다운로드
|
□ 배경
○ 럼피스킨은 소에서 피부 결절 및 림프절 종대를 특징으로 하는 제1종가축전염병으로 모기와 같은 흡혈곤충 또는 접촉으로 전파됨
○ 최근 아시아에 발생하기 시작한 이후, 2023년 10월 국내에서 최초 발생 보고됨. 전국 백신접종이 실시되었으나 국내 고유 품종(한우)에서 백신 항체 형성 양상에 대한 기초 데이터가 부족함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럼피스킨 백신 최초 및 보강접종 후 항체 양성률 분석(한우)
- 최초접종 대비 보강접종 시, 최대 3.2배 항체 양성률 증가
* 항체 양성률 (%) = 양성 두수/ 전체 두수 × 100, 최초접종 22주 후 보강접종 실시
- 보강접종 6개월 후까지 40% 이상 항체 양성률 유지
* (최초 18주차) 22.4%, (보강 3주차) 72.4%, (보강 24주차) 41.4%
□ 파급효과
○ 백신 접종 이후, 항체 유지기간 예측 등 질병 예방 기초정보 제공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