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2024년도 UN FAO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등재된 우리나라 고유자원 활용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품목코드 |
축산 |
주저자 |
김승창 |
기술유형 |
종자(축) / 품종.대목 |
기술활용유형 |
국가농업기술포털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기초·원천 기술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11월 |
첨부파일 |
20241112 2024년도 가축유전자원센터 자체 결과활용 심의회 결과보고 vf.hwpx
다운로드
|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의 국가조정관이 등록한 각국의 가축유전자원에 대한 사진과 자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축다양성 정보시스템의 소개
○ 우리나라 고유 가축유전자원이 ’23년까지 15축종 123품종·계통이 등록되었고 ’24년에 11축종 32품종·계통이 추가되어 현재 총 22축종 155품종이 등록
○ 우리나라 고유자원을 재래자원 및 지역적응품종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표현형질 및 경제적 특성을 입력하여 자원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