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국가관리 닭 집단의 ROH 활용 유전적 구조 정보 제공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품목코드 |
동물 유전자원 / 가축 유전자원 / 대가축 |
주저자 |
진대혁 |
기술유형 |
종자(축) / 육종 |
기술활용유형 |
국가농업기술포털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4 |
성과적용일 |
2024년11월 |
첨부파일 |
20241125 영농정보_국가관리 닭 집단의 ROH 활용 유전적 구조 정보 제공_진대혁.hwpx
다운로드
|
□ 배경
○ 멸실 방지를 위해 보존하고 있는 토종닭 집단의 유전적 구조 정보 수집을 통한 체계적인 집단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 필요
- 국가단위로 가축유전자원 집단을 지속적으로 보존·관리 추진 중
- 국내 토종닭 집단의 경우 소규모로 관리되고 있어 집단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
- 품종별 ROH 기반 유전적 구조 확인을 통한 집단의 기초 데이터 확보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ROH(Runs of Homozygosity)의 염색체별 빈도, 길이별 분포, 길이를 분석하여 토종닭 품종별 교배 양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
○ 염색체별 ROH 평균 길이는 품종별 선발과 근친교배 수준을 반영하는 지표로 횡성약닭의 경우 긴 ROH 결과를 나타내 강한 근친교배나 선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남
○ 염색체별 ROH 빈도 분포 분석에서 충남오계와 횡성약닭은 특정 염색체에서 높은 ROH 빈도를 보였으며, 이는 지속적인 선발과 근친교배의 결과로 해석됨
○ 염색체별 ROH 빈도 분포 분석에서 서울대학교 레그혼과 긴꼬리닭은 낮고 균일한 ROH 분포를 보여, 유전적 다양성이 비교적 풍부함을 나타냄
□ 파급효과
○ ROH 길이와 빈도 분포 분석을 통한 한국 토종닭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기초정보 제공
○ 국내 소규모 집단의 가축유전자원의 집단 관리에 적용을 통한 안전보존 체계 구축에 활용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