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닭진드기 모니터링 방법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질병방역과 |
품목코드 |
축산 / 가금류 / 닭 / 산란계 |
주저자 |
정영훈 |
기술유형 |
병해충(질병) / 충해(기생충)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정보_닭진드기 모니터링 방법_가축질병방역과_정영훈.hwpx
다운로드
|
□ 배경
○ 기존 알려진 모니터링 방법은 신속성 및 포획능력에서 한계점이 존재
- (신속성) 기존 닭진드기 모니터링 방법은 약 2일 소요
- (포획능력) 오염초기 적은 밀도로 존재하는 닭진드기 확인이 어려움 ○ 신속하고 정확한 계사 내 닭진드기 존재 여부 판단이 가능한 유인트랩을 제시하고자 함
□ 종합 영농기술정보
○ (유인물질) 계사 내 떨어진 닭 깃털을 이용
- 80%의 높은 닭진드기 유인률을 보임(p < 0.05)
○ (유인트랩) 골판지 포획장치(100×70×2.5mm)의 변형된 형태
- 판상형 골판지 포획장치 가운데 원형 타공을 통한 유인물질 투입구 마련
○ (설치기간) 18시간 설치 시에 신속한 닭진드기 오염유무 판단 가능
- 계사 작업자가 15시경 설치 시, 익일 9시 탈착 및 확인
□ 파급효과
○ 눈에 보이지 않는 적은 밀도로 서식(오염 초기)하는 닭진드기 존재 판단 가능
- 닭진드기 초기 방제의 적절한 시점 제시를 통해 약제 오남용 방지
○ 방제 작업 후의 효과 평가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방제 전략 수립에 기여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