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소, 돼지, 닭 농장 방역 취약요인 분석용 자가점검표 활용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질병방역과 |
품목코드 |
축산 |
주저자 |
정영훈 |
기술유형 |
병해충(질병) / 공중보건(방역)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정보_축종별 농장 방역 취약요인 분석용 자가점검표 활용_가축질병방역과_정영훈.hwpx
다운로드
|
□ 배경
○ 국내‧외 악성 가축질병 발생으로 농가 차단방역 중요성 증대
- HPAI, ASF,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의 지속 발생 및 상시 확산 위험
○ 축종별 사육 농장의 자체 차단방역수준 평가를 위해 각 항목별 자가 점검표를 활용하여 평가 실시
○ 농가의 차단방역 수준을 진단하고 취약한 분야를 파악하여 방역개선에 활용
□ 종합 영농기술정보
○ 소, 돼지, 닭 사육농장 방역평가 항목 세분화
- 8개 분야 구분 및 세부 점검 항목 수립
① 생축시료반입관리, ② 사료음수관리, ③ 출입관리, ④ 환경관리, ⑤ 건강관리, ⑥ 대장관리, ⑦ 소독관리, ⑧ 관리사 전실관리
※ 8개 분야의 차단방역 위해요소 판단을 위한 설명자료 포함
- (소) 94항목, (돼지) 108, (닭) 117개 세부항목
※ 각 분야별 100점 만점 기준. 각 분야별 농장 방역 위해분야 파악 및 개선에 활용하며 정기적으로 점검한 후 농장 개선사항 지속 모니터링
□ 파급효과
○ 교육․현장연시(지도사업 교안 작성에 활용)
○ 축종별 농장 방역수준 평가로 방역 취약분야 파악
○ 위해요인 분야 진단 및 개선을 통한 차단방역 개선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