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CCTV 등 발정확인 기구를 이용한 한우 축군 관리 | ||
---|---|---|---|
분 류 | 한우 > 사양관리 | ||
작 성 일 | 2016-08-18 | 조 회 수 | 184 |
자료출처 |
1.CCTV를 활용한 한우의 분만후 초발정 조기발견 바로가기 |
한우-사양관리 |
|
18. CCTV 등 발정확인 기구를 이용한 한우 축군 관리 |
||
|
|
|
||
1. 기술배경 ○ CCTV를 이용하여 축사 내 한우 관찰에 사용됨이 저조 ○ 농가 소 분만의 대부분을 축주의 임의적인 판단에 의함. ○ 농가 분만 소의 분만 시작을 육안에 의한 대기 중 확인을 개선할 필요성 있음 |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수입품은 발정여부만 판단할 수 있고 정확한 발정개시 시간을 알 수 없어 수정적기 판단이 되지 않고 있음 나. 현장활용기술 ○ 한우 암소 우사 내에 CCTV를 이용해 개체번호 도색 대상암소 녹화 관찰로 발정 암소 색출 발정개시 12~15시간째 인공수정으로 수태율 향상 ○ 온도 및 빛의 인지 센서를 기초로 한 분만알림 기능기를 질 내에 장착하여 송아지 분만 시 배출됨으로 인해 축주 휴대폰으로 개체 간 분만 발생을 알려 줌 ○ 한우암소(젖소) 미근부(꼬리 윗부분)에 승가 인식 압착식 발광기 부착으로 발정 개체를 관찰 할 수 있음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소의 분만 시 송아지의 체외 배출상황을 축주에게 알려줌으로 조기에 신속한 분만 보조가 가능하여 분만 사고를 줄일 수 있음 ○ 번식 암소의 공태 기간 감소에 따른 사료비 절감 ○ 한우 도난방지, 한우의 안전사고 예방, 발정 발생시점 포착 ○ 발정의 조기발견으로 번식우 공태 기간 15일 단축 라. 핵심기술 용어 ○ CCTV를 활용한 한우의 분만 후 초 발정 조기발견, 분만사고 방지를 위한 가축분만알림장치,『발정개시 시간 표시기』를 이용한 한우 암소 발정관찰, 무선 CCTV (Nescam)를 이용한 축사, 소의 관찰 시스템 활용 |
||||
|
|
|
||
3. 자료출처 |
||||
○ 무선 CCTV (Nescam)를 이용한 축사, 소의 관찰 시스템 활용(2007, 영농활용기술, 박성재) ○『발정개시 시간 표시기』를 이용한 한우암소 발정관찰 활용(2008, 영농활용기술, 조원모) ○ CCTV를 활용한 한우의 분만 후 초 발정 조기 발견(2009, 영농활용기술, 이명식) ○ 분만사고 방지를 위한 가축 분만 알림장치 활용(2010, 영농활용기술, 박성재)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