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실용기술모음

    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목, 분류, 작성일, 조회수, 자료출처, 내용으로 구성된 축산실용기술모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고급육 생산을 위한 사료 제한급여 효과
    분 류 한우 > 사양관리
    작 성 일 2016-08-18 조 회 수 116
    자료출처

    1.거세 비육우에 대한 제한급여 효과   바로가기
    2.거세한우 비육후기 농후사료 제한급여 효과   바로가기
    3.비육밑소 선발시 종모우 근내지방도 유전능력 활용   바로가기

    한우-사양관리

      

    21. 고급육 생산을 위한 사료 제한급여 효과

     

     

     

    1. 기술배경

      ○ 기존의 육성이나 큰 소 비육 시는 자유채식을 권장함

      ○ 고급육 생산을 위한 사료급여 체제의 정립이 요구됨

     

     

     

    2. 영농활용 기술

    가. 축산현장 문제점

      ○ 고급육 생산을 하고 있는 농가에서는 사료급여 체제의 정립이 요구됨

     나. 현장활용기술

      육량과 사료요구량

      육량과 사료요구량

      ○ 도체등급 및 경제성                                    

    도체등급 및 경제성 표 

             ** 대조구 : 농후사료 자유채식, T1 : 전반기(체중의 1.5%)+후반기

               (자유채식), T2 : 전반기(자유채식)+후반기(체중의 1.5%), T3(체중의1.7%)

      ○ 비육 밑소 선발 시 또는 인공수정 시 씨수소의 유전능력을 고려할 것

        - 육질위주 : 근내지방도 육종가 상위축의 자손 또는 정액

        - 육량위주 : 모든 보증씨수소의 자손 또는 정액

      ○ 사육기간은 비육전기 13~18개월령(체중 350~550kg), 비육후기 19~28개월령(550~700kg)으로 사료급여량은 비육전기에 체중의 1.7~1.8%, 비육후기에 전 기간 체중의 1.7%나 비육후기 전반기에 자유채식하고 후반기는 체중의 1.5%로 제한 급여해야 함.

      근내지방도 육종가 상위 씨수소의 자손을 비육 밑소로 선발 시 거세한우 1등급 출현율 향상 : 52%(전국평균) → 80%, 농가소득 증대 : 16~42% 향상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비육기 사료급여량은 비육전기에 체중의 1.7~1.8%, 비육후기에는 전 기간 체중의 1.7%급여하나, 비육후기 전반기에는 자유채식하고 후반기는 체중의 1.5%로 제한 급여해야 함이 소득과 고급육생산 비율이 높았음

     라. 핵심기술 용어

      ○ 거세 비육우의 제한급여, 거세한우 비육후기 농후사료 제한급여

     

     

     

    3. 자료출처

      ○ 거세 비육우의 대한 제한급여 효과(1993)

      ○ 거세한우 비육후기 농후사료 제한급여 효과(2004, 영농활용기술, 김영근)

      ○ 비육 밑소 선발 시 씨수소 근내지방도 유전능력 활용(2002, 영농활용기술, 김영근)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