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한우 거세 비육후기 육질개선 사양기술 | ||
---|---|---|---|
분 류 | 한우 > 사양관리 | ||
작 성 일 | 2016-08-18 | 조 회 수 | 52 |
자료출처 |
1.거세한우의 육질개선위한 비육후기 보리급여 효과 바로가기 |
한우-사양관리 |
30. 한우 거세 비육후기 육질개선 사양기술 |
|
|
|
|
1. 기술배경 ○ 거세한우의 비육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등지방두께가 증가하여 육량등급에서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 비육후기 사양기술의 개선이 요구됨 ○ 거세한우의 비육기간 연장에 따라 육량등급 및 사료이용성 저하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거세한우 육량등급 개선 및 지속적인 고품질 한우고기 생산을 위해 반추위 보호 사료이용 기술이 필요함 나. 현장활용기술 ○ 비육후기 개시 전(생후 20개월령 전후) 초음파 측정 후 등지방두께가 7.0mm이상인 개체 중 근내지방도 양호(3 이상), 미흡(3 미만) 축군으로 재편성하고, 양호한 축군은 배합사료를 체중대비 1.7%, 미흡한 축군은 1.5%로 제한급여하고, 조사료는 자유채식토록 함 ○ 거세한우 비육 중․후기(생후 16개월령 전후~출하 시) 아미노산 강화 보호사료를 배합사료 급여량의 1.0% 수준 급여 ○ 거세한우 비육후기 분쇄보리 20%(1.22kg) 혼합 급여를 제시하고, 보리를 3kg 이상 급여 시에는 배합사료 섭취량 감소로 증체량 둔화 현상이 나타남 ○ 한우 20개월령 이전 방목 육성 또는 제한급여 사양 후 20개월령 이상에서 저 칼슘 사료 제조(한우비육후기 사료에 칼슘제 무첨가) 급여로 육질 등 향상(단, 농후사료에 비타민 D3 400IU 이상 함유되어야 함)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근내지방도가 미흡하거나 양호한 개체의 비육후기 배합사료 적정량 급여로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50 ~ 90%가 출현됨 ○ 지방산과 제한아미노산 동시 공급에 의한 거세한우의 육질(1+등급 이상 33 → 80%)․육량 등급(육량 A등급 출현율 40 → 67% 증가)로 농가소득 증대 라. 핵심기술 용어 ○ 비육후기 보리급여량, 아미노산 강화 보호사료, 저 칼슘사료 급여 |
||
|
|
|
3. 자료출처 |
||
○ 등지방이 얇은 거세한우의 비육후기 적정 사료급여량(2008, 영농활용기술, 조영무) ○ 등지방이 두꺼운 거세한우의 비육후기 적정 사료급여량(2007, 영농활용기술, 조영무) ○ 한우 육질육량 동시 향상을 위한 아미노산 강화 보호사료 급여(2008, 영농활용기술, 권응기) ○ 비육후기 한우에 보리급여 한계량(2003, 영농활용기술, 이상철) ○ 한우 비육후기 저칼슘사료 급여 비육효과(2003, 영농활용기술, 이종언) ○ 거세한우의 육질개선위한 비육후기 보리급여 효과(2002, 영농활용기술, 조원모) ○ 한우 비육후기 배합사료내 보리의 적정 가공형태(2000, 영농활용기술, 이상철)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