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실용기술모음

    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목, 분류, 작성일, 조회수, 자료출처, 내용으로 구성된 축산실용기술모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한우 고급육 생산 핵심 실천기술
    분 류 한우 > 사양관리
    작 성 일 2016-08-18 조 회 수 37
    자료출처

    1.고부가 거세한우 고기 생산을 위한 성장단계별 종합기술 투입   바로가기
    2.농가실태로 본 한우고급육 생산 핵심실천사항   바로가기
    3.자가생산 거세한우의 비육단계별 사료급여 수준   바로가기

    한우-사양관리

    32. 한우 고급육 생산 핵심 실천기술

     

     

     

    1. 기술배경

      ○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혈통의 중요성 인식 확산으로 우량 밑소 자가 생산 비육체계 전환농장이 증가

      ○ 자가 생산 거세한우의 비육단계별 사료급여 수준 및 사육방법 차별화 등이 필요

     

     

     

    2. 영농활용 기술

    가. 축산현장 문제점

      ○ 1990년대는 거세 한우비육이 시작 시기임으로 비육 시 사료급여 지침이 없음

    나. 현장활용기술

      ○ 사료조절로 육성․비육기(생후 8~16개월)육색 개선 : 배합사료 중 소맥피 30%(구입 배합사료 함량 고려), 카테킨 0.3%(녹차 등에서 유래)

      ○ 비육기 육질개선(17개월~출하 시)을 위한 아미노산 강화 보호사료 : 배합사료 급여량의 1%(100g 이내/두/일)

      ○ 비육후기(22개월~출하 시)사료이용성 개선을 위한 간 기능 개선제 : 40g/일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이미 개발된 고급육생산핵심기술 실천으로 고품질 한우고기생산

      ○ 한우 고급육생산핵심기술 실천으로 경제성 분석(축산원, 2008~2010) 결과 소득 10%증대 됨

     라. 핵심기술 용어

      ○ 거세한우, 거세 비육 핵심기술, 비육단계별 사료급여 수준, 성장단계별 종합 기술

     

     

     

    3. 자료출처

      ○ 농가실태로 본 한우고급육생산 핵심실천 사항(2002, 영농활용기술, 한학석)

      ○ 자가 생산 거세 한우의 비육단계별 사료급여 수준(2008, 영농활용기술, 권응기)

      ○ 고부가 거세한우 고기 생산을 위한 성장단계별 종합기술 투입(2011, 영농활용기술, 권응기)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