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거세시기 | ||
---|---|---|---|
분 류 | 한우 > 사양관리 | ||
작 성 일 | 2016-08-18 | 조 회 수 | 48 |
자료출처 |
1.한우 거세로 육질 등급 향상 및 무혈거세시 정관 복원실태 바로가기 |
한우-사양관리 |
|
33.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거세시기 |
||
|
|
|
||
1. 기술배경 ○ 국민경제 향상으로 한우 고기에 대한 소비 취향이 육량에서 육질중심으로 바뀜 ○ 한우 비육기술도 육량 중심에서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육질 중심(고급육)으로 바뀜 |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기존의 한우비육은 대부분 비거세로 육성 또는 큰 소 비육임 ○ 한우 고급 쇠고기 생산을 위해서는 거세가 필수적이며 시기구명이 필요함 |
||||
나. 현장활용기술 ○ 2, 4, 6, 8, 12, 16 개월령에 외과적으로 거세하고 28개월령까지 비육 시, 육질은 4개월령 거세 시, 증체는 6개월령 거세가 가장 높음 ○ 조기 거세에 의한 스트레스 감소 |
||||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이유 및 거세시기별 일당증체량의 변화(비육개시 ∼ 28개월간)
○ 도체성적
○ 거세방법 : 외과적 방법, 무혈 거세, 고무링 법 라. 핵심기술 용어 ○ 거세, 거세방법, 거세시기, 거세효과 |
||||
|
||||
3. 자료출처 ○ 한우 고급 쇠고기 생산을 위한 거세적기(1993, 영농활용기술) ○ 한우 거세우 장기비육 시 고급육생산을 위한 거세적기(2004, 영농활용기술, 장선식) ○ 한우 거세로 육질 등급향상 및 무혈거세 시 정관 복원실태(1996, 영농활용기술, 홍성구)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