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실용기술모음

    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목, 분류, 작성일, 조회수, 자료출처, 내용으로 구성된 축산실용기술모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한우 방목 기술
    분 류 한우 > 사양관리
    작 성 일 2016-08-19 조 회 수 60
    자료출처

    1.거세한우 장기비육시 육성기 방목 효과   바로가기
    2.거세한우의 방목 효과   바로가기
    3.방목 사육 한우 번식우의 효율적인 번식관리   바로가기
    4.방목 종료 후 사사에 의한 육질 개선   바로가기
    5.방목에 의한 한우 번식우의 사육비 절감   바로가기

    한우-사양관리

      

    36. 한우 방목 기술

     

     

     

    1. 기술배경

      ○ 제주도의 풀사료 위주 장기비육 조건하에서 품종간 쇠고기 생산 능력과 도체특성에 대한 비교

           분석이 요망됨

      ○ 제주도는 조사료 자원이 풍부하여 방목으로 사료비를 크게 줄일 수 있음

     

     

     

    2. 영농활용 기술

    가. 축산현장 문제점

      ○ 육성기에 조사료 위주 방목사양으로 사료비절감 및 육질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배합사료 위주 비육이 이루어지고 있음.

    나. 현장활용기술

     거세한우 장기비육 시 육성기 방목 효과는 일당증체량 증대, 1kg 증체 당 농후 사료량 절감, 고급육 출현율 증대

     ○ 거세한우는 방목 육성후 우사 내에서 비육후기 사양 체계에 의해 6개월 사육하여 도축하는 것이 바람직함

     ○ 목초지 방목에 의한 사료비 절감으로 한우 번식기반 확대

     ○ 방목기간은 고령지는 5월 상순~10월 하순, 중부지방은 4월 상순~10월 하순 적합

     ○ 방목형(5-11월 방목 사육 + 11-5월 사사) 한우번식우의 경우 2-3월에 분만하고 4-5월에 수정시키는 것이 송아지 생산에 효율적임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육성기 방목 후 양질조사료 급여 시 전기간 볏짚 급여에 비해 ①일당증체량 향상(9%), ②1kg 증체 당 농후사료량 절감(17%), ③고급육 출현율 향상(60%→78%), ④소득 향상 : 20~67%(평균 26%) - 단기비육(24개월)시

      ○ 12개월령에 방목하여, 1회(6개월) 방목 후, 6개월 비육후기 사육 후 출하

      ○ 장기비육(30개월)시는 6개월령에 방목하여, 2회(12개월) 방목 후, 6개월 비육후기 사육 후 출하, 단기비육(24개월)시는 12개월령에 방목하여, 1회(6개월) 방목 후, 6개월 비육후기 사육 후 출하

      ○ 방목에 의한 사료비 절감 : 13.8 ∼ 33.4%

     라. 핵심기술 용어

      ○ 한우방목, 방목요령, 방목효과(비육우, 번식우)


     

     

    3. 자료제출

      ○ 거세한우의 방목 효과(강수원, 영농활용기술, 1997)

      ○ 거세한우 장기비육시 육성기 방목 효과(2002, 영농활용기술, 이상철)

      ○ 방목 종료 후 사사에 의한 육질 개선(2001영농활용기술, 윤세형)

      ○ 방목에 의한 한우 번식우의 사육비 절감(전병수, 영농활용기술, 2003)

      ○ 방목 사육 한우 번식우의 효율적인 번식관리(정진관, 영농활용기술, 2007)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