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한우 암소 육성기 사양관리 기술 | ||
---|---|---|---|
분 류 | 한우 > 사양관리 | ||
작 성 일 | 2016-08-19 | 조 회 수 | 69 |
자료출처 |
1.고랭지 육성한우의 적정 영양수준 바로가기 |
한우-사양관리 |
|
38. 한우 암소 육성기 사양관리 기술 |
||
|
|
|
||
1. 기술배경 ○ 농가에서 번식우 사육 시 육성기 농후사료 위주의 고 영양 또는 저 영양 사양으로 번식효율 감소 ○ 천연물질을 이용한 한우 암소 비육우의 발정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연구는 미흡함 ○ 군사(집단사육) 시 강한 개체는 과잉섭취하고 약한 개체는 제량을 섭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비나 수척한 개체의 발생으로 번식효율 저하를 초래함 |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최근의 사료급여형태가 TMR과, 조기 성장발육 촉진체계로 전환되고 있어 제2차 개정판에는 TMR에 의한 영양소 요구량을 보완함이 필요 ○ 암소의 비육과 발정조절에 자주 사용되는 발정억제제(melengesterol acetate, MGA)는 지속발정 및 간헐적 발정을 차단하여 비육효과 극대화용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한우 암소 비육우발정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연구는 미흡함 나. 현장활용기술 ○ 성장단계별 적정 영양소 급여량 ○ 볏짚위주로 한우 번식육성우를 사육시 농후사료를 체중의 1.4%정도로 급여하는 것이 적정 성장과 번식효율 제고에 유리함 ○ 한우암소 육성우시 적정 농후사료 급여 수준은 ①볏짚 조사료 급여 시 체중 150kg(체중의 1.5%), 체중 250kg(체중의 1.0%), ②양질 조사료 급여 시 체중 150kg(체중의 1.0%), 체중 250kg(체중의 0.5%) ○ 안전한 천연물질(구절초, 라벤더, 레몬그라스, 로즈마리, 바질, 페퍼민트, 고춧잎, 마늘, 부추, 브로콜리, 송이버섯, 샐러리, 연근, 연잎, 치커리, 컬리플라워, 녹차박, 인삼박, 홍삼박)을 이용하여 미경산우의 발정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에 활용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부작용 없는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한우 미경산우의 발정스트레스 경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 ○ 개체별 적정량의 사료 공급으로 적정 번식월령과 체중에서 교배하여 번식효율제고 및 노력시간 절감으로 농가 소득 증대기여 라. 핵심기술 용어 ○ 번식우 성장단계별 최적영양소 급여수준, 한우 육성 번식우 적정 사료급여량, 천연물질의 항스트레스 효능, 암소 육성우 개체별 사료급여 효과 |
||||
|
|
|
||
3. 자료출처 |
||||
○ 한우 번식우 성장단계별 최적영양소 급여수준(2010, 영농활용기술, 장선식) ○ 한우 육성번식우 적정 사료급여량 제시(2011, 영농활용기술, 장선식) ○ 국내 조사료의 한우에 대한 기호성 조사 결과(2011, 영농활용기술, 오영균) ○ 한우 미경산우 발정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In vitro 실험계에서 천연물질의 항스트레스 효능 평가(2012, 영농활용기술, 문상호) ○ 암소 육성우 개체별 사료급여 효과(2009, 영농활용기술, 권오섭) ○ 한우 암소 육성우의 조사료 섭취량 증대를 위한 농후사료 급여 수준(2003, 영농활용기술, 백봉현) ○ 한우 암소 육성기 에너지 및 단백질 적정 급여 수준(2005, 영농활용기술, 신기준) ○ 고랭지 육성한우의 적정 영양수준(1998, 영농활용기술, 장선식)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