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한우 암소비육 시 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 | ||
---|---|---|---|
분 류 | 한우 > 사양관리 | ||
작 성 일 | 2016-08-19 | 조 회 수 | 47 |
자료출처 |
1.한우 경산암소 비육시 연령별 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 바로가기 |
한우-사양관리 |
40. 한우 암소비육 시 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 |
||
|
|
|
|
1. 기술배경 ○ 한우 개량, 번식 등 능력저하 경산암소의 비육 품질고급화 강화 및 생산성 향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한우 미경산 암소 비육 시 발정 스트레스로 인한 사료요구율 증가로 생산성 감소 |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한우 경산암소의 연령별 발육 및 산육특성 자료가 미흡함 ○ 한우비육은 거세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암소비육에 대한 연구가 미흡 ○ 경산우 비육 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적정 배합사료 급여프로그램 필요 나. 현장활용기술 ○ 한우 암소 육성비육 시 적정 비육기간은 22~24개월임 ○ 한우 미경산 암소 비육우의 발정 스트레스 발생 - 발정개시 : 황체호르몬(Progesterone) 농도 0.97 → 6.55ng/ml 증가(11개월령) - 미약발정 및 둔성화 : BCS 7.3(9단계), 둔부지방두께 10.7㎜ 증가(22개월령) ○ 한우 미경산 암소 비육우의 발정 스트레스 경감 요구기간 - 11~22개월령(12개월) 전후 발정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사양관리 요구 ○ 한우 경산우 비육 시 비육기간은 체중 450㎏을 기준으로 미만일 경우 8~10개월, 이상일 경우 6~8개월간 비육, ○ 최초 4개월간 비육 후 초음파 생체육질 측정을 통하여 근내지방도 1~2일 경우 육질개선의 여지가 없어 즉시 출하, 3이상 2~6개월간 비육 ○ 사료섭취량이 최고섭취량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가 출하 적기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한우 경산암소 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 요인에 따른 연령별 사육방법 차별화로 고부가 생산성 향상과 농가소득증대 라. 핵심기술 용어 ○ 한우 암소(경산, 미경산)비육, 암소비육의 발육, 사료요구율, 도체 특성 |
|||
|
|
|
|
3. 자료출처 |
|||
○ 한우 경산암소 비육 시 연령별 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2010, 영농활용기술, 권응기) ○ 한우 미경산 암소 비육우의 성장단계별 발육 및 사료요구율 변화(2011, 영농활용기술, 이상민) ○ 한우 경산우 비육프로그램 활용(2012, 영농활용기술, 장선식) ○ 한우 경산우 비육개시 체중별 도체특성 및 경제성(2012, 영농활용기술, 최순호)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