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한우의 거세 비육기 사양관리 기술 | ||
---|---|---|---|
분 류 | 한우 > 사양관리 | ||
작 성 일 | 2016-08-19 | 조 회 수 | 46 |
자료출처 |
1.거세한우의 육성 및 비육전기 영양소 권장량 제시 및 활용 바로가기 |
한우-사양관리 |
|
42. 한우의 거세 비육기 사양관리 기술 |
||
|
|
|
||
1. 기술배경 ○ 한우 개량, 사료자원의 다양성 및 기후변화 등에 의거 영양소요구량은 변화함 ○ 육성기 농후사료 과다 급여로 ㄴ체지방 조기부착에 의한 사료효율 감소 및 비육기 생산성 저하 우려 |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농가에서 임의대로 증량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권장량과 다름 |
||||
나. 현장활용기술 ○ 육성기 영양소 권장량(kg/일) : 건물(DM) 5.226, 순단백질(CP) 0.773, 소화영양소 총 함량(TDN) 4.022 ○ 비육전기 영양소 권장량(kg/일) : 건물(DM) 8.017, 순단백질(CP) 0.98, 소화영양소 총 함량(TDN) 5.683 ○ 성장단계별 배합사료 급여량(체중비,%) |
||||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거세한우의 성장단계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권장량으로 활용 ○ 한우 거세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성장단계별 적정 일당증체량은 ①육성기(6~10개월령) 0.7㎏, ②비육전기(11~15개월령) 0.8㎏, ③비육중기(16~21개월령) 0.84㎏, ④비육후기(22~29개월령) 0.82㎏으로, 전기간 평균 0.84㎏일 경우 도체등급을 비롯한 수익성이 높았음 ○ 사료제조업체 및 비육농가에서 사양표준의 영양소 요구량으로 활용 라. 핵심기술 용어 ○ 거세한우의 육성 및 비육전기 영양소 권장량, 한우거세우 성장단계별 최적영양소 급여수준, 육질저하 거세한우 사육 농가를 위한 육질향상 |
||||
3. 자료출처 |
||||
○ 거세한우의 육성 및 비육전기 영양소 권장량 제시 및 활용(2008, 영농활용기술, 최낙진) ○ 한우거세우 성장단계별 최적영양소 급여수준(2010, 영농활용기술, 장선식) ○ 육질저하 거세한우 사육농가를 위한 육질향상 기술(2004, 영농활용기술, 장선식) ○ 한우 비육사료 제조 시 발효인덱스 적용효과(2000, 영농활용기술, 오영균)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