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한우 사료 내에 발효 미생물 첨가 급여 효과 | ||
---|---|---|---|
분 류 | 한우 > 사료영양 | ||
작 성 일 | 2016-08-19 | 조 회 수 | 84 |
자료출처 |
1.거세한우 28개월령 출하시 대추생균제가 육질에 미치는 영향 바로가기 |
한우-사료영양 |
|
59. 한우 사료 내에 발효 미생물 첨가 급여 효과 |
||
|
|
|
||
1. 기술배경 ○ 한우 비육전기에 급여되는 생균제 종류별 적정급여기준이 없이 사료 내 1~2%를 급여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정 기준설정이 필요 |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친환경 축산 확산을 위해 무항생제 사료의 이용가치를 높이는 연구가 미흡 |
||||
나. 현장활용기술 ○ 사료 내 천연자원의 첨가로 포유기 수송아지 종료체중은 택사 첨가구에서 96.17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서 78.67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 거세한우 12개월령부터 출하 시까지 대추 생균제 0.5% 및 액상 생균제 0.1% 급여 ○ 송아지 면역유도제(생균제)를 출생 직후부터 1일 1회로 4일간 급여, 한우 송아지 설사방지를 위해 대추부산물 발효미생물제제 액상 및 고상 동시 급여 : 액상은 음수량에 0.1%, 고상은 사료에 1% 첨가 ○ 대추 생균제 수준별 급여효과* * 한우 송아지 3개월~7개월 동안 미생물제제 급여 수준별 설사 및 호흡기질환 발생은 없었음 ○ 녹차 및 택사 등의 천연자원과 미생물을 활용 무항생제 한우사료 첨가제를 제조 급여함 |
||||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거세한우 12개월부터 28개월 출하 시까지 대추 생균제 0.5% 및 액상 생균제 0.1% 급여로 거세한우 출하 시 육질 57.2% 개선으로 두당 457천원 수익 창출 ○ 송아지 면역유도제(생균제)를 출생 직후부터 1일 1회로 4일간 급여로 송아지 설사 저감 : 20%발생(대조구) → 0(처리구) ○ 대추 생균제를 이용한 송아지 수분시험에서 송아지 섭취량의 1% 수준 급여 권장 라. 핵심기술 용어 ○ 한우 생균제, 천연자원, 미생물 활용, 무항생제 한우사료 첨가제, 대추 생균제 |
||||
|
|
|
||
3. 자료출처 |
||||
○ 한우 비육전기 생균제 급여 효과(2010, 영농활용기술, 김태일) ○ 천연자원과 미생물을 활용한 무항생제 한우사료 첨가제(2010, 영농활용기술, 양철주) ○ 거세한우 28개월령 출하 시 대추생균제가 육질에 미치는 영향(2011, 영농활용기술, 김태일) ○ 한우 송아지에 대추부산물 발효 미생물제제 급여 수준 제시(2009, 영농활용기술, 김태일)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