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번식우의 최적 신체충실지수 | ||
---|---|---|---|
분 류 | 한우 > 번식 | ||
작 성 일 | 2016-08-19 | 조 회 수 | 27 |
자료출처 |
1.수정기 한우암소의 신체충실지수 활용 바로가기 |
한우-번식 |
|
65. 번식우의 최적 신체충실지수 |
||
|
|
|
||
1. 기술배경 ○ 분만우 비만, 송아지 생산 시 난산, 사료소모량 과다 등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 ○ 건강한 송아지생산과 어미 소의 생산력 증대를 위한 분만 시 적정 BCS수준 ○ BCS 수치에 따른 표준 그림이 완전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부분만 제공함 |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성빈우의 체중과 BCS간에는 70%이상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BCS를 번식우 사양 관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 ○ 한우 사육규모가 증가하면서 1회 수정 수태율은 63.7%, 다음 발정에서는 58.9%, 그 다음 발정에서는 56.7%로 수태율이 저하되고 있음 ○ 농가한우의 비만도가 높은 경향으로 인하여 발정지속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배란이 지연되고 있음 ○ 한우암소에게 적용되는 BCS는 5단계법, 9단계법 등 두 가지 방법이 사용자의 기호대로 활용되고 있어 혼선이 발생되고 있음 나. 현장활용기술 ○ 인공수정시기 적정 신체충실지수(BCS)는 2.5~3.0 범위 ○ 사육여건 개선 : 두당 사육면적(9.9㎡ 이상), 우군 신체충실지수(2.5~3.0범위 90% 이상), 개체기록카드 비치 및 현황판 활용, 4~10월 양질조사료 다량 급여 ○ 임신 전 수정기에는 BCS 2.5(4)에서 수태시키고, 임신초기에도 BCS2.5(4)를 유지시키며 임신중기와 후기에는 BCS 3.0(5)로 약간 상향시킨 상태에서 분만을 하고 분만 후 1개월에는 다시 BCS 2.5(4)로 하향시켜서 수정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수정시기의 적정 영양상태 유도로 번식장애우 발생 감소 : 48.7% → 14.6% ○ 분만 전후 한우 번식우 사료에 비타민A 추가급여로 이유송아지 증체 및 치료비 절감 효과 ○ 적정 BCS 유지, 관리로 수태율 5~10% 개선되고, 연간 두당 사료비 절감 라. 핵심기술 용어 ○ 신체충실지수, BCS(Body Condition Score), 번식우에 적합한 BCS, 통합 BCS 기준 |
||||
|
|
|
||
3. 자료출처 |
||||
○ 수정기 한우암소의 신체충실지수 활용(1997, 영농활용기술, 백광수) ○ 한우의 번식효율 증진을 위한 적정 BCS수준(2000, 영농활용기술, 최성복) ○ 한우 분만시 어미소 BCS 수준에 따른 분만 난이도(2010, 영농활용기술, 전기준) ○ 한우암소의 통합 BCS 기준 활용(2006, 영농활용기술, 이명식)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