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한우 번식율 증진을 위한 사양관리 요령 | ||
---|---|---|---|
분 류 | 한우 > 번식 | ||
작 성 일 | 2016-08-19 | 조 회 수 | 45 |
자료출처 |
1.번식용 한우의 적정 혈중요소태질소(BUN) 농도 바로가기 |
한우-번식 |
|
68. 한우 번식율 증진을 위한 사양관리 요령 |
||
|
|
|
||
1. 기술배경 ○ 지속적인 송아지 포유와 관련된 모축의 보호(maternal behavior)는 번식기능의 회복에 역 효과(Williams 등, 1993; Hoffman 등, 1996) ○ 한우 포유 송아지의 이유시기 조정에 의한 모축의 번식능력 개선으로 생산비 절감 가능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한우의 인공수정 전후에 BUN수치는 4~8이 적당함 ○ 분만 전후 한우 번식우 사료에 비타민A 추가급여로 이유송아지 증체 및 치료비 절감 |
||||
나. 현장활용기술 ○ 한우 번식(일관사육) 농장에서 송아지 이유시기 조정(생후 120일령 이상 → 90일령 전․후) : 분만간격(392.8→ 370.0일) 23일 단축 ○ 사육여건 개선 : 두당 사육면적(9.9㎡ 이상), 우군신체충실지수(2.5~3.0범위 90%이상), 개체기록카드 비치 및 현황판 활용, 4~10월 양질조사료 다량급여 ○ BUN 수치가 8이상일 때 : 농후사료 급여 과다로 자궁내액의 변화와 pH의 저하에 따른 수태율이 낮음으로 농후사료 감량으로 자궁내 환경개선 ○ BUN 수치가 4이하일 때 : 농후사료 급여 부족으로 난소기능이 저하되어 발정행동이 크게 위축되었으므로 농후사료 증량 급여로 난소기능 활성화 |
||||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분만간격 단축으로 송아지 생산비 경영비의 6.3% 절감 ○ 분만 전후 한우 번식우 사료에 비타민A 추가급여로 이유송아지 증체 및 치료비 절감 효과 두당 78천원 ○ 농가에서 한우 임신우에 대한 적정 에너지 급여량을 결정 라. 핵심기술 용어 ○ 한우 번식률 향상, 비타민A첨가, 혈중요소태질소(BUN)농도, 임신 한우에 적정에너지(TDN), Synovex-A 효과, 초산한우의 산유량 증대 |
||||
3. 자료출처 |
||||
○ 한우 번식률 향상 사육기술(백광수, 영농활용기술, 1998) |
||||
○ 포유 송아지 이유시기 조정에 의한 한우암소의 분만간격단축(2006, 영농활용기술, 권응기) ○ 번식용 한우의 적정 혈중요소태질소(BUN)농도(2003, 영농활용기술, 이명식) ○ 분만 전후 한우 번식우 사료에 비타민A 추가급여 효과(2001, 영농활용기술, 장선식) ○ 임신 한우에 대한 적정 에너지(TDN) 급여 수준(2006, 영농활용기술, 신기준) ○ 초산한우의 산유량 증대 방안(1998, 영농활용기술, 우제석)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