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청보리 사료가치 증진기술 | ||
---|---|---|---|
분 류 | 조사료 > 사료작물 | ||
작 성 일 | 2016-09-19 | 조 회 수 | 10 |
자료출처 |
1.청보리 사일리지 유기산 처리효과 바로가기 |
조사료-사료작물 |
|
75. 청보리 사료가치 증진기술 |
||||
|
|
|
||||
1. 기술배경 ○ 겨울철 유휴지를 활용한 청보리 생산이 확대되면서 곡류가 포함된 조사료는 배합사료의 절감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 ○ 일선 현장에서 수확시기에 따라 에너지가 기준 품질이 균일하지 않아 TMR 공장이나 개별농가에서 배합사료 조제 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청보리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재배적인 방법에 대한 영농활용이 없음 나. 현장활용 기술 ○ 청보리의 수확시기 및 조제방법별 조사료 수량과 사료가치, 사일리지 산도와 유기산 함량 등을 제공하여 현장에서 기초자료로 활용 - 단백질 함량과 섬유소, TDN 등을 고려할 때 황숙기 수확이 가장 적절하였음 - 베일과 초퍼 사일리지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가치 차이는 없었으나, 사일리지 품질은 초퍼 방법에서 젖산함량이 23%정도 높게 나타났음 ○ 청보리 사일리지의 수확시기별 사료가치기준(‘10~’12, 익산) ○ 청보리 곡실 비율 증가에 따른 사료가치 기준 및 적용축종 다양화를 위한 곡실함량별 사료가치를 사용자에게 제시 - 예취이용시기는 황숙기(출수 후 30일)로 함 - 예취길이가 증가(곡실비율 감소)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 및 가용무질소물은 감소하고, 조섬유, 조지방, 조회분 등은 증가 ○ 예취길이에 따른 곡실함량별 성분표(‘10~’12, 익산) ○ 벼 수확 후 청보리와 헤어리베치의 혼파비율은 8:2로 최적이며, 파종량은 청보리 160kg/ha 그리고 헤어리베치 8kg/ha를 혼합하여 조파보다는 산파하고 파종 시기는 10월 상순, 수확 시기는 5월 중순이 최적임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청보리를 이용한 TMR 제조 및 배합기 사용 농가에서 자료출처로 활용 ○ 청보리의 예취 길이별 곡실 함량 비율에 따른 성분분석기준 자료 활용 ○ 청보리 재배면적 확대 및 축산농가의 저렴한 양질조사료 증산 라. 핵심기술 용어 ○ 청보리, 사료가치 증진, 예취길이, 혼파 |
||||||
|
|
|
||||
3. 자료출처 ○ 청보리의 수확시기 및 사일리지 제조방법별 품질변이 (영농참고)(2013, 영농활용기술, 박태일) ○ 청보리의 이삭부위 예취길이별 곡실함량에 따른 품질기준(영농참고)(2013, 영농활용기술, 박태일) ○ 청보리 재배농가 경영개선을 위한 경영성과 분석(2012, 영농활용기술, 이광원) ○ 청보리 사일리지 유기산 처리효과(2008, 영농활용기술, 김원호)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