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헤어리베치 품종 및 재배 | ||
---|---|---|---|
분 류 | 조사료 > 사료작물 | ||
작 성 일 | 2016-09-19 | 조 회 수 | 5 |
자료출처 |
1.중만생 다수성 헤어리 베치 ‘오레곤 컴먼(Oregon common)’ 품종특성과 재배기술 바로가기 |
조사료-사료작물 |
|
78. 헤어리베치 품종 및 재배 |
1. 기술배경 ○ 헤어리 베치는 사료가치가 우수하고 친환경 조사료 재배에 적합한 두과 목초임 ○ 헤어리 베치는 녹비작물 및 자연 경관 작물로도 이용가치가 높음 ○ 2005년도부터 수입적응성시험 대상작물에 추가되었으며, 현재 인증품종 수는 3개 품종이며, 향후 이들 품종의 보급 확대가 기대 됨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사일리지 옥수수 수입적응성 인증품종은 40여개 품종이지만 이들 품종의 종자 생산이 갑자기 중단되는 일이 많고, 국내종자 보급기간도 비교적 짧음 나. 현장활용 기술 ○ ‘오레곤 컴먼(Oregon common)’의 출수기가 5월 중순경인 중만생 다수성 품종으로 친환경적 녹비 또는 사료작물로 활용 ○ 우량품종으로 조생종은 카펠로, 중만생종은 샌더, 웰타와 헝빌로사가 있으며, 농가 조건에 따라 선택함 ○ 재배방법 - 파종시기 및 파종량 : 중부지역은 9월중순경, 남부지역은 9월 하순-10월상순, ha당 30-40kg - 시비량 : 조성비료 질소 80, 인산 200, 칼리 70kg 관리비료(봄 추비) 인산 150, 칼리 240kg - 헤어리 벳치는 대부분 초기 생육이 늦으나 온도가 상승하면 생육이 왕성함 - 파종방법은 줄뿌림을 하는 것이 산파보다 유리하며, 최근에는 총체보리, 귀리, 호밀, 유채 등과 혼파재배가 많이 이용되고 있음 - 수확시기 : 조생종은 4월 하순, 중만생종은 5월 중하순 - 수확기 : 헤어리베치는 주로 건초보다 생초용으로 이용되며, 생초수량은 개화기에 가장 많음. 조생종은 4월 중하순, 중만생종은 5월 중하순경이 수확기이며, 헤어리 베치는 대부분 초기 생육이 늦으나 온도가 상승하면 생육이 왕성해 짐 ○ 헤어리베치 품종별 수량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헤어리베치 재배시 친환경 조사료 재배(조사료, 녹비작물, 경관가치 등)에 기여 ○ 총체보리, 귀리, 호밀, 유채 등과 혼파재배로 많이 이용 라. 핵심기술 용어 ○ 헤어리 베치, 중만생 품종, 생육특성, 재배기술 |
||
3. 자료출처 ○ 헤어리 벳치 중만생종 헝빌로사(hungvillosa) 품종 소개 및 재배 기술(2009, 영농활용기술, 이종경) ○ 중만생 다수성 헤어리 베치 ‘오레곤 컴먼(Oregon common)’ 품종특성과 재배기술(2008, 영농활용기술, 이종경) ○ 헤어리 벳치 조생종 카펠로(capello), 중만생종 샌더(sander)와 웰타(welta) 품종 소개 및 재배 기술(2007, 영농활용기술, 이종경)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